- 47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 원종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10-26, 보건·복지 Issue & Focus 297호, pp.1-12 |
- 46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 A Critical Review on Definition of the Baby-boom years, Labor market shocks, and Inter-generational income transfer 김용하; 임성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06-01,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6-59 |
- 45
제3차 국민연금재정계산을위한 재정평가지표 = Sustainability indices for the 3rd Actuarial Estimate of National Pension Plan of Korea 원종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11-01, 보건복지포럼 2012년 11월 통권 제193호, pp.67 |
- 44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쟁점과 전망 = Key Issues and Prospects of Old-age Income support Programs 윤석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01-01, 보건복지포럼 2013년 1월 통권 제195호, pp.37 |
- 43
기초연금 도입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원종욱; 우해봉; 신화연; 백혜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2-07, 보건·복지 Issue & Focus 226호, pp.1-8 |
- 42
국민연금 납부율 제고를 위한 취약계층 보험료 지원방안 = A Study on the Measures to Subsidize the Vulnerable Group in National Pension Scheme to Improve the Contribution Rate 윤석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3-01, 보건복지포럼 2012년 3월 통권 제185호, pp.15-24 |
- 41
핀란드 기초연금 운영 현황과 우리나라 기초연금 도입 관련 시사점 윤석명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08-02, 보건·복지 Issue & Focus 201호, pp.1-8 |
- 40
2018년 국민연금 재정계산 대비 정책과제 신화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10-24, 보건·복지 Issue & Focus 325호, pp.1-8 |
- 39
역(逆)피라미드형 인구구조의 도래와 연금제도의 미래 우해봉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5-09, 보건·복지 Issue & Focus 239호, pp.1-8 |
- 38
국민연금 기금 거대화에 대응한 국민경제적 관점에서의 기금운용방안에 대한 고찰 = Managing National Pension Fund of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Economy 김용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6-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5-36 |
- 37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 결과의 신뢰성 제고 방안:미국 OASDI와 캐나다 CPP의 확률론적 재정추계모형 소개 중심으로 백혜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4-01, 보건복지포럼 2016년 4월 통권 제234호, pp.21-33 |
- 36
국민연금의 노후소득보장 효과 전망과 정책과제 우해봉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6-01, 보건복지포럼 2015년 6월 통권 제224호, pp.36 |
- 35
국민연금 재정목표 수립의 필요성 = Public Pension Asset Allocation and Governance Practices in Selected Countries 원종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6-01, 보건복지포럼 2015년 5월 통권 제223호, pp.14 |
- 34
국민연금 조기노령연금제도와 연기연금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감액률과 증액률을 중심으로 = Study on Improving the Early Retirement Pension and the Deferred Pension System: Focused on the Rate of Reduction and the Rate of Increment 김원섭; 한정림; 정해식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03-01,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1호, pp.62-97 |
- 33
국민연금의 수급개시연령의 증가가 남성 고령자(58-60세)의 노동시장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creases in the Pension Eligibility Age on the Labor Supply of Older Men in South Korea 최요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3-31,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1호, pp.253-277 |
- 32
국민연금제도의 성과와 향후 과제 문형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4-01, 보건복지포럼 2016년 4월 통권 제234호, pp.2-3 |
- 31
근로자의 소득수준별 기업연금기여율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contribution rates of different income groups under the Korean Occupational Pension System 원종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4-12-01, 보건사회연구 제24권 제2호, pp.3-31 |
- 30
국민연금 수급률과 급여 수준의 적정성: 성별 및 출생코호트별 차이를 중심으로 = Gender and Birth Cohort Differences in Take-up and Benefit Adequacy in the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한정림; 우해봉한국사회보장학회, 2014-05-31, 사회보장연구, vol. 30, no. 2, pp. 401 - 431 |
- 29
인수위 국민행복연금(안) 평가 = A Critical Review of the Proposal of the New Government on Pension, "National Happy Pension" 윤석명; 오신휘; 양혜진한국사회보장학회, 2013-05-31, 사회보장연구, vol. 29, no. 2, pp. 27 - 53 |
- 28
국민연금 개혁에 따른 공적연금의 노후소득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중기적 관점에서 = A Study on Changes in the Old Age Income Level since the National Pension Reform: In the Mid-term Perspective 오신휘; 정창률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03-31, 사회복지정책, vol. 39, no. 1, pp. 1 - 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