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임유나 |
dc.contributor.author | 이태진 |
dc.date.accessioned | 2025-04-03T06:56:59Z |
dc.date.available | 2025-04-03T06:56:59Z |
dc.date.issued | 2025-03-3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41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미국의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국에 미친 영향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활용하여 지역 간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와 개인의 건강 결과 사이의 인과성을 밝히기 위해 준실험설계 연구인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s)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전후를 비교 분석했을 경우 영향을 받은 지역 여부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7개 권역별로 구분하여 분석했을 경우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개인이 광주/전남/전북/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개인보다 우울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전후를 비교했을 때 모두 글로벌 금융위기로 영향을 더 크게 받은 지역에서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더 컸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지역 간 우울과 주관적 건강의 차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경제위기가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글로벌 금융위기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한국의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위기가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among individuals.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his study refers to the one triggered by the 2008 US subprime mortgage crisis. We examined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cross regions by utilizing the fact that the impact in Korea varied by region. Using a quasi-experimental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we tested for causality between the economic crisis and individual health outcomes. The study's results showed that for depression, the pre- and post-crisis analyse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the affected region. However, regional analysis showed that individuals in Dae-gu/Gyeong-buk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than those in Gwang-ju/Jeon-nam/ Jeon-buk/Je-ju. For both pre- and post-crisis periods, the likelihood of poor self-rated health was higher in regions more heavily affected by the crisis. These regional differences i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suggest that the economic crisis can influence both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This study addresses the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individual health in Korea, where research on this topic remains limited.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글로벌 금융위기가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dc.title.alternative | Impact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이중차이분석 |
dc.subject.keyword | 글로벌 금융위기 |
dc.subject.keyword | 우울 |
dc.subject.keyword | 주관적 건강 |
dc.subject.keyword | Difference-In-Difference Estimation |
dc.subject.keyword | Global Financial Crisis |
dc.subject.keyword | Depression |
dc.subject.keyword | Self-Rated Health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m, Youn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Tae-Jin |
dc.identifier.doi | 10.15709/hswr.2025.45.1.76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45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date | 2025-03-31 |
dc.citation.startPage | 76 |
dc.citation.endPage | 9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1호, pp.76-97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1, pp.76-97 |
dc.date.dateaccepted | 2025-04-03T06:56:59Z |
dc.date.datesubmitted | 2025-04-03T06:56:59Z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