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mographic Context of Household Change and Growth Components in South Korea: 2000~202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date.accessioned2025-04-03T05:23:21Z
dc.date.available2025-04-03T05:23:21Z
dc.date.issued2025-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25
dc.description.abstract인구증가율이 크게 둔화되고 가까운 미래에 인구가 본격적인 감소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는 것과 반대로, 가구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동시에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 등 가구의 구조 또한 기존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고 인구증가율이 정체 국면에 도달한 2000~2020년을 대상으로 가구변동의 인구학적 맥락을 살펴보고 지난 20년간 진행된 가구 수 증가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가구의 증가를 독립적으로 가구를 형성하는 가구주율의 변화와 연령-혼인상태별 인구분포의 변화로 구분하여 가구변동의 인구학적 맥락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가구변동의 표준화-분해 분석 결과는 과거 20년에 걸친 가구 수 증가의 대략 1/3이 독립된 가구를 형성하는 가구주율의 증가에 기인하며, 대략 2/3가 절대적 인구 증가와 연령별 및 혼인상태별 인구 구성에서의 변화에 기인함을 보여 주었다. 가구주율 증가의 효과는 65세 이상 사별(이혼) 집단(특히 여성)과 20대 미혼 집단에서 크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인구분포의 효과는 고령화되는 베이비붐 세대 등의 영향을 반영하여 50대 이상의 중장년 및 노인 인구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관측되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ses the demographic context and factors of household change over the period 2000-2020. In particula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is decomposed into headship rate changes and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ontext of household change. The standardization-decomposition analysis shows that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household growth over the past 20 years is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pensities of persons to form separate households, and roughly two-thirds is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changes in the age and marital status distribution.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headship rate was strongest among widowed/divorced persons (especially women) aged 65+ and never-married persons in their 20s.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opulation distribution is more pronounced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population aged 50+, reflecting the impact of aging baby boomers.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가구변동의 인구학적 맥락과 요인 분해: 2000~2020년
dc.title.alternativeDemographic Context of Household Change and Growth Components in South Korea: 2000~2020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가구변동
dc.subject.keyword인구변동
dc.subject.keyword가구주율
dc.subject.keyword인구분포
dc.subject.keywordHousehold Change
dc.subject.keywordDemographic Change
dc.subject.keywordHeadship Rate
dc.subject.keywordPopulation Distribution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o, Haebong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1.429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5-03-31
dc.citation.startPage429
dc.citation.endPage44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1호, pp.429-44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1, pp.429-449
dc.date.dateaccepted2025-04-03T05:23:21Z
dc.date.datesubmitted2025-04-03T05:23:21Z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