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Welfare Plan
; Community Welfare Policy
; Community Change
; Regional Relevance
; Delivery System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originates from a recognition that, while establishing community welfare policies responsive to various social issues and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emerging from community changes is an important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many municipalities’ welfare policies fail to adequately reflect community changes and the specific needs of residents. To address this gap, the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changes and community welfare policies, aiming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developing community welfare policies.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26
제2장 이론적 배경 29 제1절 지방정부와 지역사회보장정책 31 제2절 환경진단 및 사회적 이슈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36 제3절 중앙정부 정책과 지역사회보장정책 41
제3장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연관성 진단 49 제1절 지역사회보장계획 내 환경진단과 사업 간 연관성 진단 51 제2절 사회적 이슈의 변화와 지역사회보장계획 간의 연관성 진단 181 제3절 중앙부처의 정책과 지역사회보장계획 간의 연관성 진단 225
제4장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수립 과정 진단 247 제1절 전문가 FGI 개요 249 제2절 전문가 FGI 분석 결과 252 제3절 소결 269
제5장 정책 제언 273 제1절 우리나라 지역사회보장정책의 지역 연관성 과제 275 제2절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연관성 진단을 통한 정책 제언 277 제3절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수립 과정 진단을 통한 정책 제언 279
참고문헌 283
부록 287 부록 1. 제3장 1절 : 영역별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287 부록 2. 제3장 1절 : 주요 키워드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304 부록 3. 제3장 3절 : 사회보장 기본계획과 지역사회보장계획 간 연관성 분석 결과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