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채수미 |
dc.contributor.author | 김혜윤 |
dc.contributor.author | 정수경 |
dc.contributor.author | 우경숙 |
dc.coverage.temporal | 2024-05-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2-12T23:57:39Z |
dc.date.available | 2025-02-12T23:57:39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42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923 |
dc.description.abstract | 기후변화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기후위기 상황에서, 여전히 기후변화와 그것의 건강 피해에 대한 인식이 낮고, 인식이 건강 적응 행동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정책에서 추진되는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은 국민의 요구에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소통의 한계와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 영향을 올바르게 인지하고, 건강 적응 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In the context of the prevailing climate crisis, public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nd its health impacts remains limited. This limited awareness has not translated into health adaptation behaviors. Consequently, current communication efforts for health adaptation, as promoted in domestic policies, fail to address people's nee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communication strategies that increase awareness of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enhance health adaptation capacity by identifying the limitations and needs of communication efforts related to health adaptation to the climate crisi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선행 연구 및 정책 고찰 19 제1절 기후위기 건강 적응 커뮤니케이션 선행 연구 동향 21 제2절 국내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정책 56 제3절 국외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정책 65 제3장 기후위기와 건강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실태와 요구 89 제1절 전문가 및 사업관계자를 통해 바라본 소통의 실태와 개선점 91 제2절 일반 대중의 커뮤니케이션 경험과 요구 111 제4장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정책 제언 159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대상 161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내용 170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기술 175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거버넌스 182 참고문헌 185 부록 201 부록 1 전문가 면담 질문지 201 부록 2 기후 커뮤니케이션 조사 설문지 204 Abstract 213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24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
dc.title.alternative |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Adapting to the Health Impacts of the Climate Crisi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기후변화 |
dc.subject.keyword | 기후위기 |
dc.subject.keyword | 커뮤니케이션 |
dc.subject.keyword | 소통 |
dc.subject.keyword | 건강 적응 |
dc.subject.keyword | Climate change |
dc.subject.keyword | Climate crisis |
dc.subject.keyword | Communication |
dc.subject.keyword | Health Adapta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ae, Sum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Hye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g, Suk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Woo, Kyungsuk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4.2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2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25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2-12T23:57:39Z |
dc.date.datesubmitted | 2025-02-12T23:57:39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3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103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4-005-00]기후위기 건강 적응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
dc.subject.kihasa | 건강친화적 환경 |
dc.subject.kihasa | 미래질병위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