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identified data
; De-identification techniques
; Risk of privacy exposure
; Health and welfare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data in the healthcare and welfare sectors by reviewing de-identification methods at the level of anonymization, comparing re-identification risks, and establish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de-identified data. The goal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afe uti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data. By ensuring data security and providing a consistent approach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mply with data protection regulations but also to build societal trust in the processes of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2장 국내외 사례 분석 23 제1절 국내 사례 25 제2절 국외 사례 51 제3절 소결 62
제3장 비식별화 방법론 검토 65 제1절 변수·레코드 수준 비식별화 68 제2절 차등 정보보호(differential privacy) 76 제3절 재현 데이터 88 제4절 비식별화 방법론의 실무 적용 114 제5절 소결 129
제4장 비식별화 데이터 생성 및 노출 위험 분석 133 제1절 한국복지패널 135 제2절 가족과 출산 조사 142 제3절 정신질환자의 건강 및 복지서비스 인식 및 이용 경험 조사 149 제4절 소결 156
제5장 데이터 비식별화 처리 가이드라인 개발 및 관리체계 수립 163 제1절 원내 공개용 조사자료 비식별화 처리 관련 사전 검토 165 제2절 원내 비식별화 처리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175 제3절 비식별화 데이터의 이관 및 관리 절차 설정 191 제4절 소결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