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De-identified Data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박성준
dc.contributor.author안수인
dc.contributor.author권성훈
dc.contributor.author송지은
dc.contributor.author김현규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1-20T23:21:05Z
dc.date.available2025-01-20T23:21:05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38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463
dc.description.abstract데이터 분석과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기 때문에 비식별화 방법론을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비식별화 방법론은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환경과 데이터에 포함된 재식별 위험성을 검토하여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처리하여 식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이 연구는 보건복지분야의 데이터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익명화 수준의 데이터 비식별화 처리 방법을 검토하고 식별 위험을 비교하여, 비식별화 데이터의 생성 및 관리체계를 수립함으로써 데이터의 안전한 활용 및 확산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data in the healthcare and welfare sectors by reviewing de-identification methods at the level of anonymization, comparing re-identification risks, and establishing systems for generating and managing de-identified data. The goal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safe utilization and dissemination of data. By ensuring data security and providing a consistent approach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comply with data protection regulations but also to build societal trust in the processes of data analysis and uti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2장 국내외 사례 분석 23 제1절 국내 사례 25 제2절 국외 사례 51 제3절 소결 62 제3장 비식별화 방법론 검토 65 제1절 변수·레코드 수준 비식별화 68 제2절 차등 정보보호(differential privacy) 76 제3절 재현 데이터 88 제4절 비식별화 방법론의 실무 적용 114 제5절 소결 129 제4장 비식별화 데이터 생성 및 노출 위험 분석 133 제1절 한국복지패널 135 제2절 가족과 출산 조사 142 제3절 정신질환자의 건강 및 복지서비스 인식 및 이용 경험 조사 149 제4절 소결 156 제5장 데이터 비식별화 처리 가이드라인 개발 및 관리체계 수립 163 제1절 원내 공개용 조사자료 비식별화 처리 관련 사전 검토 165 제2절 원내 비식별화 처리 관련 가이드라인 개발 175 제3절 비식별화 데이터의 이관 및 관리 절차 설정 191 제4절 소결 207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211 제1절 결론 213 제2절 시사점 216 참고문헌 221 [부록] 익명처리 수준 정의표 229 Abstract 233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4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복지분야 비식별화 데이터 생성 및 관리체계 구축 기반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Creating and Managing De-identified Data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비식별화 데이터
dc.subject.keyword비식별화 처리 기법
dc.subject.keyword개인정보 노출 위험
dc.subject.keyword보건복지분야
dc.subject.keywordDe-identified data
dc.subject.keywordDe-identification techniques
dc.subject.keywordRisk of privacy exposure
dc.subject.keywordHealth and welfa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Mi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eongj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n, Su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on, Sungho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Ji-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unku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2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2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21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1-20T23:21:05Z
dc.date.datesubmitted2025-01-20T23:21:05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16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16-00]보건복지분야 비식별 데이터 생성 및 관리체계 구축 기반 연구
dc.subject.kihasa보건복지 정보화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Health and welfare digitiz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