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ine
; supply
; shortage
; manufacturing
; post-covid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policies that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domestic drug supply while building the capacity to respond proactively to future public health crises. It includes a cas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medicine supply chains and examines policy trend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imed at strengthening the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s of medicines since the onset of COVID-19. The study concludes by proposing four prospectiv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essential medicine production and supply.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11 제2절 연구 목적 13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14
제2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 안정성의 고찰 17 제1절 의약품 공급 부족 현상과 공급망 문제 19 제2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의 안정화 22
제3장 의약품 공급 안정에 관한 국내 현황 33 제1절 국내 의약품 공급 부족과 제조·공급망 문제 35 제2절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체계 운영 43 제3절 공급망 기본법에 따른 공급망 안정화 정책 48
제4장 국내 의약품 제조·공급 구조 사례 분석 55 제1절 분석 내용과 방법 57 제2절 분석 결과 59 제3절 고찰 81
제5장 코로나19 이후 외국의 의약품 제조·공급망 강화 동향 85 제1절 미국 87 제2절 유럽 113
제6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의약품 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133 제1절 의약품 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