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n Empirical Evidence from Two Declining-Population Areas Supported by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mplications for Poli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장인수
dc.contributor.author배호중
dc.date.accessioned2025-01-03T06:28:18Z
dc.date.available2025-01-03T06:28:18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3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2021년 중앙정부에 의하여 최초로 지정된 인구감소지역과 관심지역에 차등적으로 배분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지역의 인구 감소 완화 및 인구 재성장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22년 9월 지방소멸대응기금이 배분된 지역 중 인구 재성장이 관측된 사례 지역을 선정하여 이들 지역의 인구 규모, 순유입 인구 증가와 기금 수혜 간 인과적 연관성을 실증분석하였다. 사례 지역은 외형적으로는 인구 규모 및 순유입 인구의 증가 양상이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소멸대응기금과의 인과적 연관성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향후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지역 인구 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규모 재설계, 정책 수요와 정책 간 유기성 제고, 내실 있는 예산 집행과 더불어 인구변동 모니터링을 주축으로 하는 지속적인 성과 평가의 수행으로 요약할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on mitigating local population decline and fostering population regrowth. For this analysis, we selected areas that experienced population regrowth following their receipt of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n September 2022. We examined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opulation size, net in-migration increases, and the benefits of the fund in these areas. In general, the differences in average population change rate, population size, and net migration between areas receiving the fund and those not experiencing population decline reduced. Although the case areas showed an increase in population size and net in-migration, no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was observed. Our result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ncluding redesigning its scale to more effectively address local population decline, ensuring substantial budget allocations, and implementing continuous performance evaluation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에서 또 다른 지역 인구 재성장이 나타나는가?: 지방소멸대응기금 배분 지역 중 인구 재성장 관측 사례 지역에 대한 실증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Evidence from Two Declining-Population Areas Supported by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mplications for Polic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인구감소지역
dc.subject.keyword지역 인구변동
dc.subject.keyword인구 재성장
dc.subject.keyword지방소멸대응기금
dc.subject.keyword성과 평가
dc.subject.keywordDepopulation Areas
dc.subject.keywordRegional Demographic Change
dc.subject.keywordPopulation Regrowth
dc.subject.keyword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dc.subject.keywordPerformance Evaluation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Ins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Hojoong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4.272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startPage272
dc.citation.endPage2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4호, pp.272-2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4, pp.272-296
dc.date.dateaccepted2025-01-03T06:28:18Z
dc.date.datesubmitted2025-01-03T06:28:18Z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