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opulation Effects of Local Government Cash Transfe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혜진
dc.contributor.author고경표
dc.contributor.author정다은
dc.contributor.author안승재
dc.contributor.author김가희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5-29T02:02:31Z
dc.date.available2024-05-29T02:02:31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9117252004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2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출산지원금과 농민수당을 중심으로 지방자치단체의 현금지원정책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중앙-지방의 관계의 차원에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광역지자체에서는 강원도,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에서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 증가 효과가 제시되었고, 충청남도에서는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대체로 출산지원금의 크기가 큰 경우, 출산지원금의 효과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시행 당해년 혹은 차년도까지만 유지되는 단기적인 양상을 보였다.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출산지원금 효과 역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출산지원금의 규모가 작은 대도시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출산지원금의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소도시 및 농어촌 지역에서는 단기적인 효과는 관찰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에서 장기적인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농민수당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단기적 효과만 관찰되었다. 농민수당을 시행한 해에는 농민 수가 합성통제집단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차년도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현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시행하는 0~1세아 중심의 현금성 지원이나 농민수당은 출산율 제고 및 농민수 증가에 단기적인 효과만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eeks to assess the population impact of cash transfer policies, particularly childbirth grants and farmer’s basic income support scheme using Synthetic Control Methods (SCM). Childbirth grants are evaluated based on the number of births and the fertility rate of married women of reproductive age, while farmer’s basic income support is assessed in terms of the number of farmer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an increase in birth rate in Gangwon Province, Gwangju Metropolitan City, Daejeon Metropolitan City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childbirth grants, while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other cities and provinces. Gangwon Province, Gwangju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show positive effects despite differences in support levels, with Gangwon Province experiencing sustained increases due to policy changes in subsequent years. However, if some provinces and local authorities exhibited increases in birth rate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childbirth support grants, the effect was mostly short-term. The effect of childbirth support funds in local authority showed a similar trend. In local authority in small metropolitan areas where the amount of childbirth support allowance is small, the effect of such funds was found to be minimal. However, in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short-term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case of farmer subsidies, initial increases are followed by subsequent decreases in the number of farmers, indicating limited long-term effectiven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과 내용 13 제2장 제도 개요 및 선행연구 고찰 15 제1절 출산지원금의 제도 개요 17 제2절 농민수당의 제도 개요 29 제3절 지방자치단체 수당의 효과성 관련 선행연구 고찰 35 제4절 본 연구의 차별성 44 제3장 평가 모형 47 제1절 평가 설계 49 제2절 평가 모형 63 제4장 효과성 분석 83 제1절 출산지원금 효과성 분석 85 제2절 농민수당 효과성 분석 113 제3절 소결 118 제5장 정책대안 모색을 위한 해외 사례 연구 121 제1절 동아시아의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금 123 제2절 유럽의 직불제: 재분배 성격의 직불을 중심으로 138 제3절 소결 157 제6장 결론 159 제1절 연구 요약과 연구의 한계 161 제2절 정책적 함의 164 참고문헌 169 부록 1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0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앙 지방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 평가 - 지방자치단체수당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Population Effects of Local Government Cash Transfer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중앙-지방 간 관계
dc.subject.keyword지방사회보장제도
dc.subject.keyword효과성
dc.subject.keyword출산지원금
dc.subject.keyword농민수당
dc.subject.keywordCentral-Local Relations
dc.subject.keywordCash Transfer Program Effectiveness
dc.subject.keywordPopulation Effect
dc.subject.keywordChildbirth Grants
dc.subject.keywordFarmer Subsidi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Kyung-py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ng, Da-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n, Seung J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a-H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4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4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41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5-29T02:02:31Z
dc.date.datesubmitted2024-05-29T02:02:3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57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3-012-00]중앙 지방 간 유사 사회보장사업의 효과성 평가: 지방자치단체 수당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Regional social security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