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Research on the Strategy of 2nd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uthor윤강재
dc.contributor.author고든솔
dc.contributor.author백주하
dc.contributor.author신지영
dc.contributor.author정휘철
dc.contributor.author최슬기
dc.contributor.author우경숙
dc.contributor.author김혜윤
dc.contributor.author옹열여
dc.contributor.author한상희
dc.contributor.author강혜리
dc.coverage.temporal2022-03-30 - 2023-01-23
dc.date.accessioned2023-04-17T08:05:09Z
dc.date.available2023-04-17T08:05:0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23
dc.description.abstract□ A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rticle 37-2 (national health impact assessment, etc. due to climate change) of the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amended in 2017, and the first report was issued in early 202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2nd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and to further, by forming an expert network, the discussion on climate change health adaptation. ❍ In this study, we first examined the health adapta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s run in foreign countries; second, we proposed law amendments and task force for the 2nd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and third, we held climate and health forums to discuss major policy issues and future policies. □ This study found that the climate change policies in foreign countries have recently been actively changing, and that in those countries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health impacts of climate change are systematically carried out based on legal frameworks and with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commitments. Finally, we discussed with experts and officials from relevant ministries,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2nd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 Legislative Amendment: We proposed that independent legislation be enacted to ensure that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lead to health adaptation.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we focused on revising the existing “Framework Act on Health and Medical Services”. ❍ Establishment of task force: We proposed that KDCA designate an external specialized agency as a task force to delegate the authority related to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and the task force to be composed of 4 teams including government governance and specialized agency governance.
dc.description.abstract□ 2017년에 개정된 「보건의료기본법」 제37조의 2(기후변화에 따른 국민건강영향평 가 등)를 근거로 하는 기후보건영향평가가 실시되었으며, 2022년 초에 제1차 보고 서가 발간된 바 있음. 이 연구의 목적은 제2차 기후보건영향평가 시행을 위한 체 계적, 안정적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 추진을 위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해 정책 방향과 관련된 논의를 지속하는 것임. ❍ 주요 연구 내용은 첫째, 국외 보건당국의 기후변화 건강적응 정책 동향과 기후변화 건강영향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를 조사하고, 둘째, 제2차 기후보건영향평가 운영 개선을 위한 법 개정안, 전담 조직 운영 방안을 제안하며, 셋째, 주요 정책 현안과 제도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기 후보건포럼을 운영하는 것임. □ 이 연구에서는 국외 보건당국의 최근 기후변화 정책이 적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제시했으며, 국외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영향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가 법적 근거, 조직, 예산을 수반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살펴보았음. 또한 국내 유관 부처, 전문가 논의를 진행하여, 보건당국의 평가 개선방안을 도출했음. ❍ 법 개정: 기후보건영향평가가 평가에 국한되지 않고, 건강적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독립법안 제정의 필요성을 제안함. 다만, 기후보건영향평가가 초기 단계라는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보 건의료기본법」을 개정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룸. ❍ 전담 조직 운영: 질병관리청이 외부 전문기관을 전담 조직으로 지정하여 기후보건영향평가 관 련 권한을 위임하고 업무를 위탁하는 방안을 제시함. 전담 조직은 정부 거버넌스와 전문기관 거버넌스를 포함하는 4개의 팀으로 구성함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결과 요약문 1 요약문 1 Summary 3 Ⅱ. 정책연구용역사업 연구결과 5 제1장 최종 목표 5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8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71 제4장 최종 연구결과 74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80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228 제7장 정책연구용역사업 진행 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230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231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 분담표 232 제10장 참고문헌 234 제11장 첨부서류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71
dc.languagekor
dc.publisher질병관리청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title기후보건영향평가 운영체계 및 발전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Research on the Strategy of 2nd 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기후보건영향평가
dc.subject.keyword기후변화
dc.subject.keywordClimate Change Health Risk Assessment
dc.subject.keywordClimate Chang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e, Sumi
dc.type.other정책보고서
dc.identifier.url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790387-202200066
dc.identifier.localId정책보고서 2023-02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3-04-17T08:05:09Z
dc.date.datesubmitted2023-04-17T08:05:0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120_1_1
dc.type.project수탁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탁22-039-00]기후보건영향평가 운영체계 및 발전방안 연구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KIHASA 주제 분류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