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geism among Korean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Age-based Social Identity and Aging Anxie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배수현
dc.contributor.author김기연
dc.date.accessioned2022-10-12T07:08:36Z
dc.date.available2022-10-12T07:08:36Z
dc.date.issued2022-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8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청년 및 장년 세대를 대상으로, 연령주의에 관한 대표적 이론인 사회정체성이론과 공포관리이론을 통해토대로, 개인의 심리적 기제로써 연령사회정체성 및 노화불안과 연령주의 간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이다. 전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29세 사이의 청년세대 136명과 50세에서 64세 사이의 장년세대 15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령사회정체성 및 노화불안과 연령주의 간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조절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공변인으로 하여 위계적 방법을 이용한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첫째, 연령사회정체성과 연령주의 간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의 상호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청장년 세대 간의 차이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단순기울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연령집단에서 조건부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청년 세대 경우 연령사회정체성과 부적 관계를, 장년 세대는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불안과 연령주의 간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의 상호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기울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연령집단에서 노화불안과 연령주의가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조건부 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청년 및 장년 세대의 연령사회정체성 및 노화불안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연령주의에 관한 개인의 심리적 기제를 파악하는 데 기여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ge-based social identity and aging anxiety on ageism among Korean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young aged adults form 20 to 29 years (N=136) and middle aged adults from 50 to 64 years of age (N=158). Results from hierarchial multipl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of interaction showed that age grou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e-based social identity and ageism. The test of a conditional effect of age group showed that young aged adults who reported lower levels and middle age adults who reported higher levels of age-based social identity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ageism. Third, the results from test of interaction showed that age grou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xiety and ageism. The results from test of a conditional effect of age group showed that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who reported greater aging anxiety were associated with greater ageis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ause of generational conflict in Korea is the difference in values and mechanisms for ageism among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 청년 및 장년 세대의 노인에 관한 연령주의의 심리적 기제: 연령사회정체성과 노화불안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Ageism among Korean Young and Middle Aged Adults: Age-based Social Identity and Aging Anxie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연령주의
dc.subject.keyword연령사회정체성
dc.subject.keyword노화불안
dc.subject.keyword사회정체성이론
dc.subject.keyword공포관리이론
dc.subject.keywordAgeism
dc.subject.keywordAge-Based Social Identity
dc.subject.keywordAging Anxiety
dc.subject.keywordKorean Adult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Su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Giye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2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22-09-30
dc.citation.startPage260
dc.citation.endPage28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3호, pp.260-28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2 No.3, pp.260-281
dc.date.dateaccepted2022-10-12T07:08:36Z
dc.date.datesubmitted2022-10-12T07:08:36Z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Social service > Welfare for older persons
Show simple item record

Download File

share

qrcode
share
Cited 1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