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n In-depth Analysis of the 2020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An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and Sample Characteristics

Title
An In-depth Analysis of the 2020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An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and Sample Characteristics
Alternative Author(s)

Yeo, EugeneOh, Miae

Keyword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longitudinal analysis ; income distribution ; poverty dynamics ;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 ; public pension subscription ; housing status ; sample attrition ; sample representativeness
Publication Year
2020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한국복지패널은 기초분석보고서, 학술대회 보고서와 더불어 한국복지패널의 방향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해 별도의 심층분석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다. 2020년 심층분석 보고서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역에 대한 패널 종단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한 종단 지표 산출의 가능성을 높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또한, 복지패널 데이터의 오류를 줄이고 대표성을 검증하여 좀 더 질 높은 패널 데이터를 생산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 보고서는 크게 2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다양한 삶의 영역과 복지제도의 역동성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생애주기별 소득 분포 변화와 공적연금 가입 변화, 주거실태 변화는 코호트 분석을 실시하여 연령 효과와 세대 효과를 살펴보았고, 연령대별 빈곤 실태와 기초생활보장 수급의 역동성도 분석하였다. 2부에서는 한국복지패널자료의 표본 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가구 특성별로 응답패턴을 분석하여 표본에서 이탈하는 가구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기존의 지표를 활용하여 한국복지패널 자료의 대표성을 평가하였다.

최근으로 올수록 종단 지표의 생산과 분석에 대한 정책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좀 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패널 종단 지표를 구축하고 산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패널자료의 표본 대표성과 신뢰도를 보완하고 위해 체계적인 표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longitudinal indicators using Korean Welfare Panel Study (KoWePS) data and derive policy implications by longitudinal analysis. In addition, we intend to reduce errors in KoWePS data and produce high-quality panel data by representative verification.
This report consists of two parts. In Part I, an attempt was made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dynamics of various life areas and welfare systems. Income distribution, public pension subscription, and housing status were analyzed through cohort analysis to examine age and generation effects. The dynamics of poverty and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s were also analyzed. Part 2 evaluated the sample characteristics of KoWePS data. First, the response patterns were analyzed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ttri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KoWePS data was evaluated using some indicators.
Recently, the policy demand for the longitudinal indicators production and analysis h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more comprehensive longitudinal indicators. In addition, sample manage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supplement the sample representativeness and reliability of KoWePS data.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9
제2절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21
제1부 한국복지패널 종단분석
제2장 생애주기별 소득 분포 변화 27
제1절 문제 제기 29
제2절 분석 방법 30
제3절 분석 결과 32
제4절 소결 55
제3장 연령대별 빈곤 역동성 57
제1절 문제제기 59
제2절 분석 방법 60
제3절 분석 결과 62
제4절 소결 76
제4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변화에 따른 수급 역동성 79
제1절 문제제기 81
제2절 분석 방법 82
제3절 분석 결과 83
제4절 소결 96
제5장 생애주기별 공적연금 가입 변화 99
제1절 문제제기 101
제2절 분석 방법 102
제3절 분석 결과 104
제4절 소결 112
제6장 생애주기별 주거실태 변화 115
제1절 문제제기 117
제2절 분석 방법 118
제3절 분석 결과 120
제4절 소결 136
제2부 한국복지패널 표본 특성
제7장 표본 이탈 특성 분석 141
제1절 문제제기 143
제2절 분석 방법 143
제3절 분석 결과 144
제4절 소결 160
제8장 한국복지패널자료의 대표성 평가 163
제1절 서론 165
제2절 대표성 평가를 위한 지표 167
제3절 자료 분석 173
제4절 소결 196
제9장 결론 및 시사점 199
제1절 분석 결과와 시사점 201
제2절 향후 분석 과제 205
참고문헌 207
부록 213
〔부록 1〕 표본 유형 분류표 211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20-48
ISBN
9788968277696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
Income protection > Public income assistanc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8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