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년기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정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코로나19 확산 시기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 =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in Older Adults: Comparing One-Pers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은혜
dc.date.accessioned2025-01-03T06:42:54Z
dc.date.available2025-01-03T06:42:54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373
dc.description.abstract노년기는 신체적 약화뿐 아니라 사회적 관계망 축소로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게 되며 정신건강 차원에서 취약한 시기로, 코로나19는 이와 같은 취약성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확산 시기 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의 관계 사이에서 부정정서와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경로를 구조적으로 확인하였으며, 고립의 위험이 높은 1인 가구와 가구원이 함께 거주하는 다인 가구를 비교하여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2021년에 조사된 한국미디어패널조사 중 60세 이상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고립감, 부정정서, 자아존중감은 모두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부정정서와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다인 가구에 비해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이 크고,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Late adulthood is often characterized by the social isolation attributable to physical weakness, reduced social networks, and increased susceptibility to mental health issues―factors that worsen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explored the structural paths mediated by negative emotions and self-esteem. We also compared one-person households, at increased risk of isolati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e analysis, based on data from those aged 60 or older in the 2021 Korea Media Panel Survey, revealed that social isolation,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all affected life satisfaction, and that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For one-person households, social isolation exerted greater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while self-esteem had smaller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multi-person households. Based on these findings, we have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policy development to address social isolation among older adults.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2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년기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정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코로나19 확산 시기의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의 비교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Social Isola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elf-Esteem in Older Adults: Comparing One-Person with Multi-Person Household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년기 삶의 만족
dc.subject.keyword사회적 고립감
dc.subject.keyword부정정서
dc.subject.keyword자아존중감
dc.subject.keyword1인 가구
dc.subject.keyword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dc.subject.keywordSocial Isolation
dc.subject.keywordNegative Emotions
dc.subject.keywordSelf-Esteem
dc.subject.keywordOne-Person Household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Eun Hye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4.220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startPage220
dc.citation.endPage24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4호, pp.220-24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4, pp.220-248
dc.date.dateaccepted2025-01-03T06:42:54Z
dc.date.datesubmitted2025-01-03T06:42:54Z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