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Establishing a Preventa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risi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Year

Title
Establishing a Preventa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risi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Year
Author(s)

김승권 ; 황성철 ; 김연우

Keyword
case management ; families in crisis ; vulnerable families
Publication Year
2012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providing a model of a preventive and individualized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as a way to help vulnerable and at-risk families overcome poverty and other risky situations by gaining independence and stability.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specific parts. First,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integrated case management model for Korean society. Second, the study evaluates the impacts and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vulnerable families and families in crisis. Third, the study suggests sharing roles and developing connections between public and private case management agencies.
For this study, the final version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model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improving the existing model. The final case management model consisted of 9 sectors, 18 indicators, and 90 conditions. In each condition, risk-leve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sing 11-point risky scales. Using this model, we operated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with approximately 45 social service agencies.
Additionally, we established a database that contained all the data from our case management processes which helped us evaluate their overall impacts. Also, this study proposes the integrated case management model for Korean society which contains the case management system (structure) and the three-step case management process model.
The study found that the new integrated case management model worked remarkably well, reducing the average risk level of families by as much as 43%, from 74 points at the baseline measurement to 42 points at the end of the study.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for the entire duration of the case management process was KRW 1,197,000. Of this monthly amount, direct costs were KRW 532,000, and indirect costs, such as agency referral costs, were KRW 665,000. In sum, it cost an average of KRW 37,000 to decrease 1 point of risk level for all households (359 households). Based on the result, we conclude that the case management program was effectively and successfully operated.
Table Of Contents
요약

제1부 서론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통합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제1절 사례관리수행 관련 제 모형
제2절 사례관리평가 관련 제 모형
제3절 사례관리평가 관련 선행연구 검토

제3장 한국형 통합사례관리 모형개발의 이론적 배경 및 원칙
제1절 기존 통합사례관리 모형의 비교분석
제2절 취약‧위기가족의 주요 특징
제3절 한국형 통합사례관리모형 개발을 위한 제 논의
제4절 한국형 통합사례관리모형 개발의 기본 원칙과 방향

제4장 국내‧외 사례관리정책 동향
제1절 국내 사례관리정책 동향
제2절 국외 사례관리정책 동향

제2부 통합사례관리 사업실시 및 평가결과

제5장 통합사례관리사업 실시
제1절 사업의 개요
제2절 사례관리 참여기관 및 참여자의 특성
제3절 사례관리참여자 교육
제4절 사업의 실시과정

제6장 통합사례관리 대상가구 선정 및 기초분석
제1절 사례관리가구 선정 및 특성
제2절 사례관리 참여가구의 욕구사정 분석결과
제3절 사례관리 참여가구원(개인)의 욕구사정 분석결과
제4절 사례관리 참여가구의 위험수준 기초선(1차) 사정 분석결과
제5절 사례관리 참여가구원(개인)의 위험수준 기초선(1차) 사정 분석결과

제7장 통합사례관리 실시과정 모니터링
제1절 통합사례관리 상위목표
제2절 통합사례관리 하위목표
제3절 통합사례관리 슈퍼비전 제공

제8장 통합사례관리 효과성평가: 전체
제1절 전체 통합사례관리 참여가구의 효과성 분석
제2절 전체 통합사례관리 참여가구원(개인)의 효과성 분석
제3절 종결가구의 시작~종결기간 위험수준 변화
제4절 종결가구원(개인)의 시작~종결기간 위험수준 변화

제9장 통합사례관리 효과성평가: 중‧고위험군
제1절 중‧고위험군 가구의 효과성 분석
제2절 중‧고위험군 가구원(개인)의 효과성 분석

제10장 통합사례관리 효율성평가
제1절 전체 사례관리가구 대상 효율성 평가
제2절 사례관리 종결가구의 효율성 평가

제3부 한국형 통합사례관리모형

제11장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및 한국형 통합사례관리 모형
제1절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제2절 한국형 통합사례관리 모형

참고문헌

부 록 1: 통합사례관리 매뉴얼
부 록 2: 사례관리업무의 공공 및 민간의 역할분담 관련 조사표
부 록 3: 사례관리 참여기관 및 참여자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2-52
ISBN
978-89-8187-417-9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share

qrcode
share
Cited 3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