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adequacy of the method that Korea uses to evaluate long-term care needs, and presents as an alternative a level-of-care model whereby care needs are determined by expert estimation. The authors review care needs evaluation tools that are used in Korea, Japan, Germany and the US(MI Choice) and, employing each in turn, measure the functional status of elders. The outcome provides a point of reference to determine the adequacy of Korea’s long-term care needs evaluation. When it comes to selecting recipients, Germany is the most inclusive, followed in order by the US, Japan and Korea. The new method this study presents as a potential replacement of the current estimation instrument is based on the US level-of-care model. The suggested model is expected to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election tool and to allow linkage between the selection of care recipients and their plan for service use.
Table Of Contents
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내용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장기요양필요도 관련 논의 제1절 장기요양보호의 정의 제2절 장기요양필요도 제3장 외국의 장기요양필요도 측정방식 검토 제1절 독일 장기요양대상자 선정도구 및 활용방법 제2절 일본 장기요양대상자 선정도구 및 활용방법 제3절 미국 장기요양대상자 선정도구 및 활용방법 제4장 노인장기요양보험 요양필요도 측정의 적합도 평가 제1절 기능상태별 요양필요도 분석 제2절 국가별 장기요양대상자 선정 알고리즘 적용 결과 분석 제5장 노인장기요양필요도 측정방식 개발 제1절 장기요양필요도 측정방식 개발 개요 제2절 LOC(Level of Care) 모형 제3절 LOC(Level of Care)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제4절 LOC 모형의 적용 제6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노인기능상태조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