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Future Realization Gaps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윤희
dc.contributor.author김선미
dc.contributor.author임은효
dc.date.accessioned2025-10-01T01:44:18Z
dc.date.available2025-10-01T01:44:18Z
dc.date.issued2025-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807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년의 우울 문제를 미래 실현 조건 격차와 사회적 관계망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청년이 희망하는 미래 실현에 필요한 조건과 현재 수준 간의 격차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주 연구 목적이다. 지역적 맥락을 반영하기 위해 거주지역이 수도권인 청년과 비수도권인 청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의 만 19세~34세 청년 14,966명 응답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일반화선형모형(GLM)을 적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에서 미래 실현 조건 격차 인식이 클수록 우울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관계망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지역별로 상이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수도권에서는 사회적 관계망이 부모의 교육 수준 격차 인식과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비수도권에서는 부모의 경제력 격차와 나의 교육 수준 격차 인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관계망이 자원 결핍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차이는 청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 수립 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s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 realization gaps and social networks. We define the future realization gap as the perceived discrepancy between one’s current status and desired future aspirations. Using data from 14,966 participants aged 19 to 34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we employed generalized linear models (GLM) to analyze how this gap affects depression and whether social networks moderate this relationship. Analyses were conducted separately for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residents. Results demonstrate that larger future realization gap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depression levels in both regions. Although social networks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emerged. In metropolitan areas, social network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educational achievement gaps and depression. In non-metropolitan areas, social networks buffered the effects of both parental economic status gaps and individual’s educational achievement gaps on dep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networks serve as protective factors that mitigate the adverse mental health consequences of perceived resource deficits. However, the mechanisms vary by regions, highlighting the need for location-specific interventions to support young adults’ mental health.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청년이 인식하는 미래 실현 조건 격차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 차이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Future Realization Gaps and Depression among Young Adults: Regional Differences i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Network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청년
dc.subject.keyword미래 실현 조건 격차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사회적 관계망
dc.subject.keyword수도권/비수도권
dc.subject.keywordYoung Adults
dc.subject.keywordFuture Realization Gaps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Social Networks
dc.subject.keywordMetropolitan/Non-Metropolitan Area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Yoon 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on 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Eun Hyo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3.448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25-09-30
dc.citation.date2025-09-30
dc.citation.startPage448
dc.citation.endPage47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3호, pp.448-47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3, pp.448-474
dc.date.dateaccepted2025-10-01T01:44:18Z
dc.date.datesubmitted2025-10-01T01:44:18Z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