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date.accessioned | 2025-09-15T23:42:34Z |
dc.date.available | 2025-09-15T23:42:34Z |
dc.date.issued | 2025-09-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8034 |
dc.description.abstract |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는 눈부시다. 기술 발전의 속도를 따라잡는 데 제도는 숨이 차다. 기술과 제도의 속도 차이가 남기는 틈에 사회적 위험이 어른거린다. 인공지능이 불러오는 편익에 대한 찬사와 더불어 이러한 위험에 대한 경고에도 귀 기울여야 한다. 2024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제프리 힌턴 토론토대학 교수는 2024년 12월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인공지능으로 인해 30년 안에 인류가 멸종할 가능성이 10~20%에 이른다고 언급했다. 인공지능 기술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공공 영역 가운데 하나가 사회보장이다. 한국에서도 위기 가구 발굴이나 일자리 소개와 관련해 인공지능 기술이 이미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가진 거대한 잠재력을 활용하면서 위험성을 통제하기 위해 규제도 느리게나마 마련되고 있다. 2024년 12월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인공지능기본법)’이 제정됐다. 이 법이 제정되는 과정에서 사회보장 영역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뤄졌다고 보기는 힘들다. 한국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서는 세계 6위 수준의 기술 강국이다. 그렇지만 인공지능 관련 규제, 특히 사회보장 영역에서의 규제에 대해서는 논의의 진행 속도가 매우 더디다. 2025년 9월호 ‘이달의 초점’ 주제는 ‘인공지능과 사회보장’이다. 이번 호에서는 네 개의 글을 마련했다. 먼저 국내 사회보장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의 현황을 짚었다. 두 번째 글에서는 국외 사회보장 영역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적용 현황과 대표적 규제인 미국 바이든 정부 당시의 행정명령 14110을 소개했다. 세 번째 글에서는 2024년 한국에서 제정된 인공지능기본법의 내용와 의의, 한계를 짚는다. 마지막 글에서는 사회보장 영역의 인공지능 기술 적용에 따른 순기능과 위험성을 살펴본 뒤 정책 제언을 시도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ace at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is advancing is astounding—so rapid that governance struggles to keep up. Social risks loom in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progress and regulatory response. While AI is rightly celebrated for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we must also heed warnings about the dangers it poses. One such warning comes from Geoffrey Hinton, a University of Toronto professor and 2024 Nobel laureate in physics, who told the BBC last December that there is a 10 to 20 percent chance AI could wipe out humanity within 30 years. Social security is one of the public service areas where AI technologies are most widely applied. In Korea, AI has been used to identify at-risk households and support job placement. Albeit slowly, regulations have been put in place to both harness AI’s immense potential and mitigate its risks. A key example is the Basic Act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stablishment of Trust (the Basic Act on AI), passed in December 2024. Yet, it is hardly the case that social security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in the course of drafting this law. According to one index, Korea currently ranks as the world’s sixth most advanced AI powerhouse. But policy conversations around regulation, particularly concerning AI use in social security and related fields, are progressing at a glacial pace. This month’s issue of Health and Welfare Forum spotlight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cial Security,’ with four feature articles devoted to the theme. The first reviews the use of AI in Korea’s social security system. The second examines applications of AI in US social security, with a focus on Executive Order 14110, an exemplar AI regulation from the Biden Administration. The third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Korea’s Basic Act on AI, assessing both its significance and its limitations. The final article explores the benefits and risks of applying AI in social security and offers policy implications.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기획의 글 (보건복지포럼 2025년 9월호) |
dc.title.alternative | Foreword (September 2025,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 |
dc.subject.keyword | 인공지능 |
dc.subject.keyword | Social Security |
dc.subject.keyword | Artificial Intelligence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tae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25 |
dc.citation.volume | 347 |
dc.citation.number | 9 |
dc.citation.date | 2025-09-01 |
dc.citation.startPage | 3 |
dc.citation.endPage | 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25년 9월 통권 제347호, pp.3-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5.9 No.347, pp.3-3 |
dc.date.dateaccepted | 2025-09-15T23:42:34Z |
dc.date.datesubmitted | 2025-09-15T23:42:34Z |
dc.description.subject | 사회보장영역에서 인공지능 기술 적용 현황과 과제 |
dc.description.subject | AI Applications in Social Security: Current State and Challenges |
dc.subject.kihasa | 보건복지 정보화 |
dc.description.section | 권두언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