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Improving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Post-Management for Embryo-Producing Medical Institu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수형
dc.contributor.author이홍림
dc.contributor.author박현지
dc.contributor.author김희년
dc.contributor.author황나미
dc.contributor.author이기평
dc.contributor.author오윤지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5-03-31
dc.date.accessioned2025-08-28T08:28:04Z
dc.date.available2025-08-28T08:28:04Z
dc.date.issued2025
dc.identifier.isbn979117252091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93
dc.description.abstract보조생식술의 급속한 확산, 난임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 생명과학 기술의 고도화 등으로 배아의 생성과 활용을 둘러싼 생명 윤리적 쟁점이 복잡해짐에 따라 배아생성의료기관에 대한 보다 엄격하고 정교한 관리 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실성 있는 배아생성의료기관의 지정 기준과 사후관리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인력, 시설 및 장비)에 대한 현실적인 기준안을 제안하였고, 사후관리 측면에서 의료기관의 재지정과 현장 평가를 강화한 사후평가를, 그리고 배아생성 담당인력의 자격 인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장기적으로는 보조생식술 전반을 아우르는 단일법이나 생명윤리법을 기본법으로 하고 보조생식술의 문제를 별도의 다른 법에서 규율하는 법체계 구축도 고민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rapid expansion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ART), the growing demand for infertility treatment, and advances in life sciences have intensified ethical debates over embryo production, underscoring the need for stricter regulation of embryo-producing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identified shortcomings in the current designation criteria (personnel,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proposed more practical standards, along with stronger post-management measures such as re-designation, on-site evaluations, and professional certification for embryologists. In the long term, it recommends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legal framework, either through a unified ART law or by positioning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as a fundamental law with ART-specific regul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9 제2장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 및 사후관리 현황 11 제1절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 및 사후관리 제도 13 제2절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 및 사후관리 실태 25 제3절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 및 사후관리 문제점 60 제3장 해외 주요국 보조생식술 의료기관 지정 및 사후관리 현황 65 제1절 프랑스 67 제2절 대만 79 제3절 미국 88 제4절 소결 93 제4장 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 및 사후관리 개선방안 95 제1절 단기 개선방안 97 제2절 중기 개선방안 105 참고문헌 113 부록 117 [부록 1] 미국 생식의학회(ASRM) 지침: 난임시술 질 보장을 위한 인간배아학, 남성학 및 내분비학 관련 실험실 관리 및 운영의 포괄적 지침(2022년): 117 Abstract 127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3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 및 질 제고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mproving the Designation Criteria and Post-Management for Embryo-Producing Medical Institu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배아생성의료기관
dc.subject.keyword지정 및 사후관리
dc.subject.keyword생명윤리법
dc.subject.keyword난임 시술기관
dc.subject.keyword보조생식술
dc.subject.keywordEmbryo-Producing Medical Institution
dc.subject.keywordDesignation and Post-Management
dc.subject.keywordBioethics and Safety Act
dc.subject.keywordInfertility Treatment Institution
dc.subject.keyword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eh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ong Li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Hyunj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ee-N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Na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ip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Yoonji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5.12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5-1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5-12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date.dateaccepted2025-08-28T08:28:04Z
dc.date.datesubmitted2025-08-28T08:28:04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01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03-00]배아생성의료기관 지정기준 및 질 제고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KIHASA 주제 분류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