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Changes in Youth Transition Pathway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문길
dc.contributor.author박소은
dc.contributor.author노법래
dc.contributor.author변소연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8-27T01:52:29Z
dc.date.available2025-08-27T01:52:29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70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의 성인기로의 이행경로 변화가 개인·가족·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인구사회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경험과 낮은 학력은 취업·분가·결혼 이행을 지연·정체시키며 누적적 불이익을 강화한다. 둘째, 지연·미이행은 평균적으로 정신건강(우울감 등) 악화와 연관된다. 셋째, 취업과 결혼의 시점은 이후 소득·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부모에게는 물질적 부담이 증가하나 정서적 효과는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거시적으로는 ‘지연된 이행 함정’이 인구·경제·사회 전반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정책적으로는 생애주기 관점에서 청년정책을 재정렬하고, 아동·청소년 단계의 조기개입을 확대하며, 주거·고용안정·교육투자를 통합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결론에서는 이행기 지원 정책을 권리로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청년배낭’과, 기후, 돌봄 영역에서의 양질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참여소득형 ‘일자리보장제도’를 정책수단으로 제시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s how changes in Korean young adults’ pathways to adulthood affect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ety, and sets out implications for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overty experience and low educational attainment delay or stall transitions to employment, home-leaving, and marriage, reinforcing cumulative disadvantage. Second, delayed or unrealized transitions are, on average, associated with poorer mental health. Third, the timing of employment and marriage significantly shapes subsequent income and fertility. Fourth, for parents, financial burdens increase, while emotional effects are mixed. At the macro level, a “delayed transition trap” may trigger a vicious cycle across demographic, economic, and social domains. Policywise, the study recommends reframing youth policy in a life-course perspective, expanding early interventions to the child and adolescent stages, and strengthening integrated supports for housing, employment security, a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nclusion proposes securing transition supports as entitlements through a Youth Backpack (Comprehensive Youth Activity Account) and a participation-income–linked Job Guarantee that provides quality employment in the care and climate domai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5 제3절 이론적 논의 16 제2장 청년 생애사 이행 궤적의 집단별 특성과 청년기 이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9 제1절 개요 41 제2절 분석 방법 43 제3절 분석 결과 48 제4절 소결 80 제3장 이행기 특성 변화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85 제1절 서론 87 제2절 분석 개요 92 제3절 분석 결과 106 제4절 소결 127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31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133 제2절 이행기 특성 변화의 거시적 영향 135 제3절 정책제언 143 참고문헌 153 Abstract 164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dc.title.alternativeChanges in Youth Transition Pathway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청년
dc.subject.keyword성인으로의 이행경로
dc.subject.keyword이행지연
dc.subject.keyword청년배낭
dc.subject.keyword일자리보장제
dc.subject.keywordyoung adult
dc.subject.keywordtransition to adulthood
dc.subject.keyworddelayed transition trap
dc.subject.keywordyouth backpack
dc.subject.keywordjob guarant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oon-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o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oh, Beop R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yeon, So Ye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53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5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53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8-27T01:52:29Z
dc.date.datesubmitted2025-08-27T01:52:2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4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28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4-001-04]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Population and family > Family change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