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영숙 |
dc.contributor.author | 고숙자 |
dc.contributor.author | 안수인 |
dc.contributor.author | 이승용 |
dc.contributor.author | 유희수 |
dc.contributor.author | 박승준 |
dc.coverage.temporal | 2024-01-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8-26T05:05:14Z |
dc.date.available | 2025-08-26T05:05:14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69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89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은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며, 베이비부머 세대의 고령화가 사회안전망에 구조적 위험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노후소득보장과 의료·요양 부문에 대한 재정 영향을 분석하는 장기 재정추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3대 사회보험 중심 추계에서 벗어나 일반재정 사업까지 포함하여 범위를 확장하였다. 사회보험과 일반재정 사업 간 제도적 연계를 반영하여 상호 영향을 고려한 재정추계를 실시하였다. 특히 사회적 입원 문제에 따른 재정의 비효율성을 분석하고, 2030년 이후의 재정 소요를 예측하였다. 본 모형은 저출산 대응 재정추계 등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지속적인 검증과 민감도 분석이 요구된다. |
dc.description.abstract | South Korea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in 2025, and the aging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s projected to pose a structural risk to the social safety net.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ong-term fiscal projection model to analyze the financial impacts on old-age income security and healthcare/long-term care sectors. The study expands beyond the traditional focus on the three major social insurance programs to include related general budgetary programs. It incorporates institutional linkages between social insurance and general fiscal programs to conduct an integrated fiscal projection. In particular, it analyzes the fiscal inefficiencies caused by "social hospitalization" and projects the associated financial burden beyond 2030. The model will need to be expanded to include fiscal projections related to policies addressing low birthrates and requires ongoing validation and sensitivity analysi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사회보장 재정 추이 및 재정추계의 공통 전제 17 제1절 사회보장 재정 추이 19 제2절 사회보장 재정추계의 공통 전제 25 제3장 국내외 재정추계 사례 31 제1절 해외 재정추계 사례연구 33 제2절 국내 재정추계 사례연구 60 제4장 재정추계 모형: 노후소득보장 65 제1절 국민연금 68 제2절 기초연금 99 제3절 생계급여 107 제5장 재정추계 모형: 의료·요양 125 제1절 건강보험 127 제2절 노인장기요양보험 146 제3절 의료급여 등 161 제4절 시나리오: 요양병원 이용 관련 172 제6장 종합 및 제언 191 참고문헌 199 Abstract 207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1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보장 장기 재정추계 통합모형 구축 |
dc.title.alternative |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odel for Long-Term Financial Projection of Social Securit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 |
dc.subject.keyword | 장기 재정추계 모형 |
dc.subject.keyword | 노후소득보장 |
dc.subject.keyword | 의료·요양 |
dc.subject.keyword | 사회적 입원 |
dc.subject.keyword | social security |
dc.subject.keyword | financial projection model |
dc.subject.keyword | national pension |
dc.subject.keyword | health insurance |
dc.subject.keyword |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oung Suk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o, Sukj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An, Su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Seung‑Y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oo, Hee‑s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eung‑Ju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4.52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52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52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8-26T05:05:14Z |
dc.date.datesubmitted | 2025-08-26T05:05:14Z |
dc.type.research | 기초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017_1_1 |
dc.type.project | 기본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기본24-017-00]사회보장 장기 재정추계 통합모형 구축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재정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