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Out-of-Home Care: Diagnosi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성은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박현숙
dc.contributor.author이주민
dc.contributor.author민구홍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5-03-31
dc.date.accessioned2025-08-25T06:34:41Z
dc.date.available2025-08-25T06:34:41Z
dc.date.issued2025
dc.identifier.isbn979117252090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을 위한 지원 정책 현황과 지원체계 전반을 진단하여 실질적인 지원 강화 및 지원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경계선지능아동 지원 욕구와 지원 효과를 파악하고, 가정외보호 실무자 대상 FGI 등을 실시하여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에 관한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주요 개선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선지능아동을 위한 가정외보호 양육 인프라 개선과 관련 법령 개정, 경계선지능아동의 행동 특성 및 집단생활 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행동지원체계 및 전문 컨설팅 체계 구축, 개별보호관리계획의 법적 역할과 기능 구체화, 종사자 역량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policies and support systems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out-of-home car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strategies to strengthen assistance and improve systemic frameworks. Drawing on a review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he analysis highlights key issues in diagnosis and service provision. The findings recommend improving the care infrastructure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in out-of-home placements, amending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establishing differentiated behavioral support systems and professional consulting frameworks tailored to their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group-living environments, clarifying the legal roles and functions of individual care management plan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encies of care work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경계선지능의 개념 21 제2절 경계선지능 진단 도구 25 제3절 경계선지능아동·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욕구 36 제4절 경계선지능아동·청소년 개입 및 지원 효과 57 제3장 보호체계별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 61 제1절 아동보호체계 63 제2절 청소년보호체계 9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02 제4장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 주요 쟁점 107 제1절 FGI 개요 109 제2절 주요 분석 결과 11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63 제5장 아동보호치료시설의 기능 탐색 169 제1절 아동보호치료시설 일반 개요 171 제2절 아동보호치료시설 설문조사 방법 및 분석 결과 179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22 제6장 결론 225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227 제2절 정책 제언 232 참고문헌 243 부록 253 [부록 1] 아동보호치료시설 설문조사 253 [부록 2]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느린 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초등학생) 265 [부록 3]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느린 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중학생) 268 Abstract 271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8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Out-of-Home Care: Diagnosis and Policy Recommenda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가정외보호
dc.subject.keyword경계선지능아동
dc.subject.keyword청소년
dc.subject.keyword아동보호체계
dc.subject.keyword청소년보호체계
dc.subject.keywordout-of-home care
dc.subject.keywordchildren and youth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dc.subject.keywordchild protection system
dc.subject.keywordyouth protection syste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Sung 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Eun J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Hyun Su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oo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in, Koo-Ho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5.1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5-01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5-011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date.dateaccepted2025-08-25T06:34:41Z
dc.date.datesubmitted2025-08-25T06:34:41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10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11-00]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Social service > Welfare for childre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