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Regulatory impact assessment and policy tasks in health and welfare polic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고숙자
dc.contributor.author안영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8-25T04:52:33Z
dc.date.available2025-08-25T04:52:3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67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85
dc.description.abstract규제영향평가는 규제가 만들어지고 집행되는 과정뿐만 아니라 결과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규제 품질의 과정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협의를 거치는 한편, 투명성과 책임성을 갖추고 근거에 기반하여 의사결정을 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국가의 규제영향분석 가이드라인 및 보건·사회보장 분야에 적용된 사례를 검토하고, 보건복지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규제영향분석 관련 정책과제를 도출하여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편익과 비용이 금전 가치화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정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규제영향분석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지 못한 영역이지만, 규제영향분석의 양적, 질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현재와 미래의 비용 및 편익, 그리고 규제가 세대 간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Regulations complement market principles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y,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herefore, poorly designed regulations can increase socioeconomic costs and reduce public welfare, making it necessary to establish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regulations and facilitate the delivery of new servic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IA in Korea's health and welfare policies,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RIA as a pilot case. Although it has not been widely applied in RIA to date, it is necessary to comprehensively consider current and future costs and benefits, as well as the impact of regulations on gener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9 제2장 규제영향분석 현황 및 쟁점 11 제1절 규제의 정의 및 유형 13 제2절 규제비용관리제의 운영 실적 18 제3절 규제영향분석 관련 논의 쟁점 24 제3장 규제영향분석의 해외 사례 29 제1절 영국의 규제영향분석 31 제2절 미국의 규제영향분석 43 제3절 일본의 규제영향평가 54 제4절 시사점 69 제4장 보건복지 규제 개선 현황 분석 및 규제영향분석 71 제1절 보건복지 분야의 규제 개선 현황 73 제2절 퇴원환자 지원 사업 관련 정량적 규제영향분석 90 제3절 건강정보교류에 대한 정성적 규제영향분석 108 제5장 정책 과제 115 참고문헌 123 Abstract 129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복지정책의 규제영향평가와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Regulatory impact assessment and policy tasks in health and welfare polic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규제영향분석
dc.subject.keyword규제비용
dc.subject.keyword규제편익
dc.subject.keyword규제영향평가
dc.subject.keyword비용편익분석
dc.subject.keywordregulatory impact analysis
dc.subject.keywordregulatory cost
dc.subject.keywordregulatory benefit
dc.subject.keywordregulatory impact assessment
dc.subject.keywordcost-benefit analy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Sukj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hn, Yo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50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5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50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8-25T04:52:33Z
dc.date.datesubmitted2025-08-25T04:52:3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12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13-00]보건복지정책의 규제영향평가와 정책과제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planning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