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경덕 |
dc.date.accessioned | 2025-08-13T23:51:24Z |
dc.date.available | 2025-08-13T23:51:24Z |
dc.date.issued | 2025-08-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914 |
dc.identifier.uri | https://doi.org/10.23062/2025.08.1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2024년 기준 0.75명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저출산 현상은 이제 단기적 현상을 넘어 구조적 위기로 자리잡고 있다. 더불어 결혼과 출산, 육아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는 기존 정책의 유효성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새로운 방향 설정을 요구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보건복지포럼 2025년 8월호에서는 ‘결혼·출산·육아에 관한 인식 조사’를 통해 독일, 일본, 스웨덴, 프랑스 등 4개국 국민의 관련 인식을 분석하고, 동일한 문항으로 한국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조사는 각국의 20~49세 성인 남녀 2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되었으며, 결혼 및 출산, 성역할에 대한 인식, 가사 및 자녀 육아 분담에 대한 인식, 인구변화 및 사회에 대한 인식, 인구정책 및 예산 투입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번 기획에서는 각국 간 인식의 차이를 단순 비교하는 것을 넘어 사회문화적 맥락과 정책 환경을 함께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제약과 가능성을 살펴보고,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조사는 동일 문항을 기반으로 한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단순한 현황 진단을 넘어 정책 설계에 필요한 실증 자료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향후에도 이와 같은 정기적 비교 조사를 통해 인식 변화 추이를 점검하고, 국제적 동향 속에서 한국의 정책적 좌표를 재설정하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 | In Korea, where the total fertility rate remains at 0.75 in 2024—again, the lowest in the world—low-birthrate trends are increasingly becoming a structural crisis rather than a temporary phenomenon. Meanwhile, public perceptions are rapidly changing regarding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revealing the need to reassess the validity of existing policies and reorient general policy directions. In response to these circumstances, the August issue of Health and Welfare Forum presents findings from the Survey on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which was conducted online with 2,500 men and women aged 20 to 49 in each of Germany, Japan, Sweden, and France, and compares these findings with results from the same survey administered in Korea. The survey examines perceptions across four key themes: marriage, childbirth, and gender roles; th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for housework and childcare; demographic shifts and society; and population policies and government spending. Going beyond simple cross-country comparisons of perceptions, our discussion places the sociocultural landscape and policy environment into perspective, exploring the limitations and potential of Korean society and drawing implications for future population policies. What makes our survey significant is that its findings, derived from the same questionnaire, allow for robust cross-country comparisons and, as such, can contribute not only to the diagnosis of trends but also to evidence-based policymaking. Efforts must continue in this direction, with regular implementation of cross-country surveys like the one on which we base our discussion, to monitor changing public perceptions and ensure that Korea’s policy orientation stays aligned with international trends.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기획의 글 (보건복지포럼 2025년 8월호) |
dc.title.alternative | Foreword (August 2025,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인구변화 |
dc.subject.keyword | 인구정책 |
dc.subject.keyword | 저출산 |
dc.subject.keyword | Population Change |
dc.subject.keyword | Population Policy |
dc.subject.keyword | Low Fertility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Kyong Duk |
dc.identifier.doi | 10.23062/2025.08.1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25 |
dc.citation.volume | 346 |
dc.citation.number | 8 |
dc.citation.date | 2025-08-01 |
dc.citation.startPage | 3 |
dc.citation.endPage | 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25년 8월 통권 제346호, pp.3-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5.8 No.346, pp.3-4 |
dc.date.dateaccepted | 2025-08-13T23:51:24Z |
dc.date.datesubmitted | 2025-08-13T23:51:24Z |
dc.description.subject | 결혼·출산·육아에 관한 4개국 인식 조사 결과 분석 |
dc.description.subject | Analysis of a Cross-Country Survey on Perceptions of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care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dc.subject.kihasa | 저출산대응 |
dc.description.section | 권두언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