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곽윤경 |
dc.date.accessioned | 2025-07-16T23:43:54Z |
dc.date.available | 2025-07-16T23:43:54Z |
dc.date.issued | 2025-07-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769 |
dc.identifier.uri | https://doi.org/10.23062/2025.07.1 |
dc.description.abstract | 2025년 7월호 『이달의 초점』에서는 ‘이주민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 인식’을 주제로 다룬다. 2024년 12월 기준, 한국 전체 인구에서 이주민이 차지하는 비중은 5%를 초과하였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연령인구 감소, 군 병력 및 학령인구 부족, 지방 소멸 등 사회 구조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복합적 요인들이 맞물리면서, 이주민 유입과 사회통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불가피한 국가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전환기에 이주민을 어떻게 수용하고, 이들과 어떤 방식으로 공존할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여전히 형성 중이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는 종족적 민족주의에 기반한 배타적 정체성이 여전히 강하게 작동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주민에 대한 편견, 심리적 거리감, 복지 수혜에 대한 거부감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정서는 사회통합을 위한 제도 설계와 정책 수용성 확보에 있어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로 국민의 인식은 이주민의 사회적 권리 보장과 복지 수급 자격에 대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향후 이민·복지 정책의 수용성과 설계 방향을 결정짓는 핵심 요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의 이주민 인식에 대한 실증적 분석은 아직 충분히 축적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XI): 이주민과 사회통합』의 일환으로, 2024년 제11차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goekd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74세 이하 성인 남녀 3,0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주민에 대한 국민 인식과 복지·이민 정책에 대한 태도를 다각도로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이번 7월호 『이달의 초점』은 해당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세 편의 글로 구성되어 있다.첫째, 복지국가 맥락에서의 반이민 태도 현황과 정책적 함의,둘째, 세대 간 이주민 수용성과 이민정책에 대한 태도,셋째, 이주민의 사회권 및 복지정책에 대한 국민 인식 분석이다. 이 글들이 이주민과 공존하는 복지국가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기초가 되고, 국민 인식의 구조와 변화 가능성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며, 사회통합 정책의 실질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focus of the July issue of Health and Welfare Forumis “Public Perceptions of Immigrants and Social Integration.” As of December 2024, immigrants accounted for more than 5 percent of the Korean population. Korea is well on its way to becoming what by OECD standards may qualify as a multicultural, multi-ethnic society. Against this backdrop, marked by various intersecting dynamics—including working-age population decline due to falling birthrates and increasing longevity, a growing shortage of military personnel, a shrinking school-age population, and severe local depopulation—that pose significant threats to the sustainability of Korean society, immi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are no longer optional concerns, but major national policy imperatives. Yet the country has yet to reach a consensus on how many immigrants Korea should admit and how best to coexist with them. Meanwhile, a sense of exclusive national identity, anchored in ethnonationalism, runs deep in Korea, engendering, to varying extents across different migrant categories, prejudice against immigrants, a sense of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m, and, consequently, resistance to entitling them to welfare benefits. Although understanding public attitudes toward immigrants’ social rights and welfare entitlement is crucial for publicly acceptable immigration and welfare policies, empirical research into this topic remains limited. In response to this shortfall, KIHASA has conducted its 11th Social Cohesion Survey in 2024 with a total of 3,010 adults (ages 19 to 74) sampled from across the country, focusing on the theme of immigrants and social integration. Drawing on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the articles contributed to this month’s issue of the Forumattempt to illuminate from various angles citizens’ attitudes toward immigrants as well as the public acceptance of immigration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concerning immigrants. More specifically, the three articles devoted to our topic at hand respectively address: anti-immigrant sentiment and its policy implications from a welfare-state perspectiv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acceptance of immigrants and in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policies; and public perceptions of immigrants’ social rights and welfare entitlements. We hope these analyses will help lead to a substantive understanding of public attitudes—particularly their underlying structure and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ve change—and to ongoing efforts to shape a Korean welfare state grounded in inclusiveness and coexistence.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기획의 글 (보건복지포럼 2025년 7월호) |
dc.title.alternative | Foreword (July,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이주민 인식과 태도 |
dc.subject.keyword | 시민권과 복지 수용성 |
dc.subject.keyword | 이민정책과 사회통합 |
dc.subject.keyword |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mmigrants |
dc.subject.keyword | Citizenship and Welfare Inclusiveness |
dc.subject.keyword | Immigration Policy and Social Integration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ak, YoonKyung |
dc.identifier.doi | 10.23062/2025.07.1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25 |
dc.citation.volume | 345 |
dc.citation.number | 7 |
dc.citation.date | 2025-07-01 |
dc.citation.startPage | 3 |
dc.citation.endPage | 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25년 7월 통권 제345호, pp.3-3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5.7 No.345, pp.3-3 |
dc.date.dateaccepted | 2025-07-16T23:43:54Z |
dc.date.datesubmitted | 2025-07-16T23:43:54Z |
dc.description.subject | 이주민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 인식 |
dc.description.subject | Public Perceptions of Immigrants and Social Integration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dc.subject.kihasa | 사회통합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dc.description.section | 권두언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