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Experiences of Elder Abuse and Analysis of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정숙
dc.contributor.author이미진
dc.date.accessioned2025-07-03T09:36:33Z
dc.date.available2025-07-03T09:36:33Z
dc.date.issued2025-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9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학대 피해경험에 대한 추세를 분석하고 연령, 기간, 코호트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노인실태조사 2011년, 2014년, 2017년, 2020년의 4개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전반적인 피해경험률과 학대유형별 피해경험률, 학대유형별 행위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령, 기간, 코호트 효과 검증을 위해서 APC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학대 피해경험률은 2011년 12.7%, 2014년 9.9%, 2017년 9.8%, 2020년 7.2%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2011년 대비 2020년의 피해경험률은 약 5.5%p 감소하였다. 학대 유형은 정서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은 감소하였으나, 신체적 학대만 유일하게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학대행위자의 분포 변화를 보면 2011년에 비해 2020년 자녀의 비중이 급격히 줄고, 친구·이웃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친구·이웃에 의한 신체적 학대의 비중이 동기간 약 3.7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PC 분석 결과 기간 효과만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2011년에 비해 2014년, 2017년, 2020년 모두 학대 피해경험률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연령 효과와 코호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특정 세대나 연령집단의 특성보다는 해당 시점의 사회적·정책적인 환경변화가 노인학대 발생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는 학대행위자별(가족, 친구·이웃) 맞춤형 예방대책과 신체적 학대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 수립 및 개입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노인학대 예방을 위한 인프라 확충 및 정책적 개입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the prevalence of elder abuse and tested for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Using data from four waves of the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2011, 2014, 2017, and 202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abuse victimization by year and perpetrators by type of abuse. An APC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for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elder abuse decreased over time: 12.7% in 2011, 9.9% in 2014, 9.8% in 2017, and 7.2% in 2020. Physical abuse was the only type of abuse tha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with abuse by friends and neighbors increasing about 3.7 times between 2011 and 2020. Only the period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APC analysis, with significantly lower rates of abuse victimization in 2014, 2017, and 2020 compared to 201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policies are needed to prevent elder abuse, particularly physical abuse. Preventive measures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abuse perpetrated by friends and neighbors as well as family member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need to expand infrastructure and strengthen policy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학대 피해경험 및 연령, 기간, 코호트 효과에 대한 분석
dc.title.alternativeExperiences of Elder Abuse and Analysis of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인학대
dc.subject.keyword피해경험률
dc.subject.keywordAPC 분석
dc.subject.keyword연령
dc.subject.keyword기간
dc.subject.keyword코호트 효과
dc.subject.keywordElder Abuse
dc.subject.keywordVictimization Rates
dc.subject.keywordAPC Analysis
dc.subject.keywordAge
dc.subject.keywordPeriod
dc.subject.keywordCohort Effect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ungs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Miji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2.330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5-06-30
dc.citation.startPage330
dc.citation.endPage35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330-35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2, pp.330-351
dc.date.dateaccepted2025-07-03T09:36:33Z
dc.date.datesubmitted2025-07-03T09:36:33Z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주제 분류
Social service > Welfare for older persons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