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CT
; Cash transfer
; Baby Bonus
; EITC, Sin tax
; Behavioral policymaking
발행연도
2025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the late 1990s, social welfare spending in Korea has increased rapidly, and cash transfer programs have expanded even more swiftly in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While Korea’s cash transfer programs were once focused primarily on ensuring the livelihood of vulnerable groups, there has recently been a rise in universal benefit programs aimed at addressing demographic challenges such as low birth rates and population aging. From the perspective of fiscal sustainability, it is now necessar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these programs. In particular, while universal benefits such as Child Allowances or Baby Bonus clearly provide additional household income through public transfers at the micro level, it remains unclear whether these programs are achieving their originally intended goals. Against this backdrop, the present study aims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cash-based welfare programs—such as Baby Bonus, the Child Allowances, and EITC—are meeting their intended objectives.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seeks to derive common policy implications for major cash transfer p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5
제2장 현황 및 검토 배경 13 제1절 현금지원사업의 현황 15 제2절 현금지원사업 효과 검토의 이론적 배경 19
제3장 사업 효과 분석 (1) 출산 결정요인과 출산장려금의 영향 29 제1절 출산에 대한 의사결정 모형 31 제2절 분석 방법 38 제3절 분석 결과 및 시사점 43
제4장 사업 효과 분석 (2) 가구 소비지출에 대한 아동수당의 영향 55 제1절 아동수당과 행동 변화 57 제2절 아동수당의 가구 지출 재배분 효과 분석 64 제3절 분석 결과 및 시사점 69
제5장 사업 효과 분석 (3) 근로장려세제의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 89 제1절 근로장려세제 쟁점 사항 및 선행연구 91 제2절 분석 방법 107 제3절 분석 결과 및 시사점 117
제6장 사업 효과 분석 (4) 담배 판매량에 대한 담뱃세 인상의 영향 139 제1절 담배가격과 담배 수요 141 제2절 담배 판매량에 대한 담배가격 인상의 효과 분석 152 제3절 분석 결과 및 시사점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