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 Pandemic
; Employment Shock
; Job Retention Policy
; Family Care Policy
; Remote Work
발행연도
2025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COVID-19 policy responses in five major countries—Korea, Germany,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Norway—and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crises. The analysis finds that Korea was particularly vulnerable to employment shocks due to its high concentration of face-to-face service industries, a large share of self-employed workers, an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emporary and daily employment. The impact was especially severe for women.
The pandemic revealed structural weakness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and significant gaps in the employment safety net.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coverage of unemployment benefits and job retention support, and to enhance the inclusiveness and accessibility of family care and sick leave policies in order to ease care burdens. Strengthening social protection for the self-employed and platform workers is also a critical priority.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9
제2장 주요국 코로나19 전후의 사회경제적 특성 15 제1절 각국 경제적 특성 17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24 제3절 각국의 일하는 방식 변화 37
제3장 한국의 코로나19 영향 45 제1절 서론 47 제2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50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5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58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72 제6절 소결 82
제4장 독일의 코로나19 영향 83 제1절 서론 85 제2절 독일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97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00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116 제6절 소결 127
제5장 영국의 코로나19 영향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33 제3절 분석자료 14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51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168 제6절 소결 183
제6장 미국의 코로나19 영향 191 제1절 서론 193 제2절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99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23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28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258 제6절 소결 279
제7장 노르웨이의 코로나19 영향 281 제1절 서론 283 제2절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9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97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323 제6절 소결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