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신정우 |
dc.contributor.author | 김희년 |
dc.contributor.author | 천미경 |
dc.contributor.author | 박성준 |
dc.contributor.author | 백주하 |
dc.contributor.author | 류재린 |
dc.contributor.author | 육도경 |
dc.contributor.author | 김민경 |
dc.coverage.temporal | 2024-09-01 - 2025-03-31 |
dc.date.accessioned | 2025-06-30T07:10:02Z |
dc.date.available | 2025-06-30T07:10:02Z |
dc.date.issued | 2025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87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9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의 개념과 국제사회의 논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024년에 OECD, EU, WHO 유럽 지역사무소가 공동으로 제시한 프레임워크(A Practical Handbook for Resilience Testing)에 따라, 감염병 위기에 대한 대응 역량을 진단하고 개선 과제를 도출했다. 이와 함께 보건의료 분야가 직면한 사회적, 지정학적, 환경적 충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health system resilience and trends in international discussions. Based on the guidebook titled 'A Practical Handbook for Resilience Testing' jointly published by the OECD, EU, and WHO Regional Office for Europe in 2024, it assessed the capacity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 crises and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social, geopolitical, and environmental shocks facing the health secto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 제2절 연구의 구성 6 제2장 이론적 검토 9 제1절 보건의료체계 성과 평가 개념체계 11 제2절 국제보건협약과 보건안보 25 제3절 보건의료체계의 회복탄력성 개념 및 평가 41 제3장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측정 지표 선정 59 제1절 OECD 등(2024)이 검토 제안한 지표 61 제2절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지표에 대한 국내 전문가의 의견 조사 63 제4장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관련 현황 75 제1절 개요 77 제2절 건강 수준과 거버넌스 현황 78 제3절 자원 조달 현황 82 제4절 서비스 제공 현황 89 제5절 재정 조달 현황 95 제5장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99 제1절 합의 도출 워크숍 개요 101 제2절 시나리오 설정 101 제3절 영역별 주요 논의 사항 및 우선순위 도출 결과 112 제4절 영역별 주요 과제 도출 129 제6장 고찰 및 결론 145 제1절 고찰 147 제2절 결론 149 참고문헌 151 부록 157 [부록 1]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지표 전문가 의견 조사표(1차) 157 [부록 2]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지표 전문가 의견 조사표(2차) 163 [부록 3]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워크북’ 169 Abstract 185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84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연구 |
dc.title.alternative | Study on the test of resilience in healthcare system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보건의료체계 |
dc.subject.keyword | 회복탄력성 |
dc.subject.keyword | 감염병 |
dc.subject.keyword | 경제협력개발기구 |
dc.subject.keyword | 세계보건기구 |
dc.subject.keyword | Healthcare system |
dc.subject.keyword | resilience |
dc.subject.keyword | infectious diseases |
dc.subject.keyword | OECD |
dc.subject.keyword | WH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hin, Jeongw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Hee-N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eon, Mi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eongj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aek, Juh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yu, Jaer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yuk, Do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Minkyou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5.08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5-08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5-08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date.dateaccepted | 2025-06-30T07:10:02Z |
dc.date.datesubmitted | 2025-06-30T07:10:02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156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4-025-00]보건의료체계 회복탄력성 평가 연구 |
dc.subject.kihasa | 보건복지 정보화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