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the Enhancement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Indicato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성준
dc.contributor.author김가희
dc.contributor.author함영진
dc.contributor.author김경환
dc.contributor.author송현진
dc.contributor.author김지민
dc.coverage.temporal2024-09-01 - 2025-03-31
dc.date.accessioned2025-06-30T00:50:43Z
dc.date.available2025-06-30T00:50:43Z
dc.date.issued2025
dc.identifier.isbn979117252086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지역사회보장지표의 현황을 진단하고 지표 체계의 개선 방향과 효율적 관리 및 활용 확대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 사례와 지표 구조에 대한 검토를 통해 주요 관리 과제를 도출하고, 지표의 효율적 운영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간 정보 활용 격차를 해소하고 법·제도적 기반을 강화하여 지역사회보장 정책의 근거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중장기적 전략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Indicators (CSSIs) and to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ir framework. Through a review of existing practices and indicator structures, the study identifies key management issues and explores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administration and broader utiliz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s institutional and legal measures to enhance the use of CSSIs and reduce disparities in data use across regions, thereby supporting evidence-based community social security poli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구성 및 방향 23 제2장 지역사회보장지표의 현황 및 사례 검토 27 제1절 지역사회보장지표 구축·관리의 배경 및 변화 29 제2절 지표체계 및 데이터 활용 관련 사례 분석 39 제3장 지역사회보장지표 체계의 개선 방향 설정 99 제1절 영역별 지역사회보장지표의 구성 및 세부 지표의 적절성 검토 101 제2절 지역사회보장지표 관리를 위한 구조 설정 159 제4장 지역사회보장지표 활용 방향 설정 165 제1절 지역사회보장지표의 활용 범위 설정 167 제2절 지역사회보장지표의 활용 수요 검토 217 제3절 지역사회보장지표 활용성 확대 방향 229 제5장 지역사회보장지표 고도화 전략 251 제1절 지역사회보장지표 구성 및 관리 253 제2절 지역사회보장지표 활용 활성화 방안 263 제6장 결론 27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의 시사점 277 제2절 연구의 함의 및 제언 281 참고문헌 285 부록 293 Abstract 343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35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지역사회보장지표의 고도화 및 활용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Enhancement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Social Security Indicator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지역사회보장지표
dc.subject.keyword데이터 기반 지역사회보장정책
dc.subject.keyword지표체계 고도화
dc.subject.keyword수요 기반 데이터 활용
dc.subject.keywordCommunity Social Security Indicators
dc.subject.keywordData-Driven Community Policy
dc.subject.keywordEnhancement of the indicator framework
dc.subject.keyworddemand-driven data us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eongj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a-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m, Young 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ungh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Hyun-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mi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5.07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5-0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5-07
dc.citation.date2025
dc.citation.date2025
dc.date.dateaccepted2025-06-30T00:50:43Z
dc.date.datesubmitted2025-06-30T00:50:43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55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24-00]지역사회보장지표의 고도화 및 활용 방안 연구
dc.subject.kihasa보건복지 정보화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Health and welfare digitization
Show simple item record

파일 다운로드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