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the Population Diversity Index in Measuring Childcare Service Accessibility for Children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South Korea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혜진 |
dc.contributor.author | 안수인 |
dc.contributor.author | 김주리 |
dc.contributor.author | 곽윤경 |
dc.contributor.author | 최선영 |
dc.coverage.temporal | 2024-05-01 - 2025-03-31 |
dc.date.accessioned | 2025-06-29T23:39:31Z |
dc.date.available | 2025-06-29T23:39:31Z |
dc.date.issued | 2025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84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인구총조사 국적 통계를 활용해 읍·면·동 단위의 ‘인구다양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이주배경 인구는 꾸준히 증가할 뿐 아니라 수도권 공단을 넘어 농‧어촌과 관광지 등 다양한 지역·산업으로 확산되고 있었다. 영유아(0~5세)에서도 외국인 자녀 비중이 크게 늘어, 가족 단위 이주와 정착이 더욱 활발해졌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주배경 영유아의 어린이집 접근성은 지역별로 큰 격차를 보였다. 저출산으로 전체 공급 여건은 다소 개선됐지만, 외국인·다문화 가정이 집중된 동네 상당수에서는 ‘높은 수요 대비 부족한 공급’ 현상이 여전했다. 실제 이용률 역시 내국인 영유아는 약 60%인 반면, 외국인 영유아는 40% 수준에 그쳤다. 요인 분석 결과, 지자체의 추가 보육료 지원과 가까운 다문화·가족센터 설치는 이주배경 영유아의 어린이집 이용률을 유의미하게 끌어올렸다. 결혼이민자 가구 비중이 높을수록 이용률이 상승한 점도 지역 네트워크와 정보 통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다만 복잡한 절차, 한글 중심 안내, 통·번역·문화중개 인력 부족 등으로 여전히 혜택을 놓치는 가정이 적지 않았다. 따라서 시설 확충과 비용 지원을 넘어 ‘문화적 수용성’과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통합 정책이 요구된다. |
dc.description.abstract | Using nationality data from the Population Census, this study calculated a township-level “Population Diversity Index.” The migrant-background population is steadily rising and spreading beyond the industrial zone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to rural communities, fishing villages, and tourist destinations. Among children aged 0–5 years old, the share of foreign-born youngsters is increasing rapidly, indicating more active family migration and settlement. Access to childcare, however, varies greatly by location. Although declining birth rates have slightly eased overall supply pressures, many neighborhoods with large numbers of foreign or multicultural families still suffer from a clear “high-demand, low-supply” imbalance. Usage rates underline this gap: about 60% for Korean children versus roughly 40% for foreign-born children. Factor analysis shows that additional childcare subsidies from local governments and nearby multicultural or family centers significantly boost enrolment among migrant-background preschoolers. Areas with higher proportions of marriage-migrant households also display higher uptake,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local networks and information channels. Nevertheless, complicated procedures, Korean-only information, and shortages of interpreters or cultural mediators leave many families under-served. Therefore, beyond expanding facilities and subsidies, integrated policies are needed to improve cultural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reach: multilingual guidance with streamlined applications, on-site interpreters and cultural mediators, and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and learning material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과 주요 용어 정리 10 제2장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19 제1절 이민행정과 지방정부의 역할 21 제2절 이주민 밀집 지역 관련 선행연구 25 제3절 이주배경 영유아 대상 보육 지원정책 현황 30 제4절 이주배경 아동 보육서비스 접근성 관련 선행연구 35 제5절 본 연구의 차별성 40 제3장 지역의 인구다양성 변화 43 제1절 인구다양성 지수의 산출 방법 45 제2절 인구다양성 지수의 변화 51 제3절 이주배경 인구의 국적별 분포 80 제4절 영유아의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의 변화 89 제5절 소결 110 제4장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13 제1절 지역별 보육 수요와 이용률 변화 115 제2절 외국인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42 제3절 다문화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 분석 156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8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85 제2절 정책적 함의와 제언 190 참고문헌 197 부록 211 Abstract 221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41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Application of the Population Diversity Index in Measuring Childcare Service Accessibility for Children with Immigrant Backgrounds in South Korea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인구다양성 |
dc.subject.keyword | 이주배경 영유아 |
dc.subject.keyword | 보육서비스 접근성 |
dc.subject.keyword | 사회통합 |
dc.subject.keyword | Population diversity |
dc.subject.keyword | children with immigrant backgrounds |
dc.subject.keyword | Childcare access |
dc.subject.keyword | Social integra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Hye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An, Su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ri, Kim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ak, Yoon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Sunyou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5.0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5-0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5-05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date.dateaccepted | 2025-06-29T23:39:31Z |
dc.date.datesubmitted | 2025-06-29T23:39:31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116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4-017-00]지역별 인구다양성 지수 산출과 활용: 이주배경 영유아의 보육서비스 접근성을 중심으로 |
dc.subject.kihasa | 가족정책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