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Preliminary Study on Enhancing National Pension Coverage for One-Person Non-Wage Workers: Focusing on the Dependent Contracto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다미
dc.contributor.author한겨레
dc.contributor.author김근혜
dc.contributor.author남재욱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6-18T06:44:07Z
dc.date.available2025-06-18T06:44:0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64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04
dc.description.abstract최근 노동시장은 고용형태 다변화와 함께 전통적 고용관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노동형태가 빠르게 확산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같은 ‘1인 비임금근로자’는 법적으로는 자영업자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임금근로자에 가깝게 종속적 노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이들은 고용계약을 맺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기존의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에서 배제되어 있으며, 국민연금과 같은 사회보험 사각지대에 놓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노동시장과 공적연금의 제도 정합성과 형평성 문제로 이어지며, 특히 국민연금의 가입구조와 가입자 관리가 급변하는 노동시장 환경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국민연금은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제도로 기능하고 있지만 의존적 계약자를 포함한 1인 비임금근로자와 같이 소득 변동성과 불안정성이 크고 법적 지위가 모호한 취약 노동집단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의 수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과 제도의 포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집단에 대한 실태 파악과 함께 제도 설계의 근본적 재검토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세계와 국민연금 가입 실태, 그리고 제도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의 국민연금 가입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years, the labor market has undergone rapid diversification in employment, with various forms of labor increasingly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employment relationships. Among these, so-called “One-person Non-wage Workers”— including the self-employed, platform workers, and freelancers — are legally classified as the self-employed but often perform labor in a manner that closely resembles that of wage workers, exhibiting a high degree of dependency. Despite this, they are frequently excluded from the protections of labor and social security laws due to the absence of formal employment contracts, placing them in blind spots within social insurance systems such as the National Pension (NP) This situation raises fundamental concerns about institutional coherence and equity between the labor market and public pension systems. In particular, the structure and administration of the NP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inability to adequately respond to the evolving nature of the labor market. Although the NP serves as the core institution in South Korea’s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it has struggled to provide sufficient coverage for vulnerable labor groups with unstable income patterns and ambiguous legal status, such as dependent contractors. To ensure both the sustainability and inclusiveness of the NP, it is imperative to conduct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the realities of these workers and to fundamentally reconsider the institutional design. This study seeks to analyze the labor conditions and pension status of one-person non-wage workers, identify barriers to their enrollment in the NP, and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ir coverage within the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 12 제2장 이론적 논의 15 제1절 고용형태 다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구조 변화 17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개념과 범주 20 제3절 고용형태 다변화와 공적연금 체계 28 제3장 1인 비임금근로자의 규모 변화와 국민연금 가입 37 제1절 ‘고용관계 밖’에 위치한 새로운 취약 노동집단의 등장 39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실태 44 제4장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정책 요구 방향 51 제1절 분석 방향 53 제2절 분석 방법 56 제3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노동 및 소득, 사회적 보호 61 제4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관련 정책 욕구 96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25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27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시사점 132 참고문헌 137 부 록 145 부록 1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사업장가입자 전환 시 사용자 예상 부담금 145 부록 2 거주자의 업종별 사업소득 원천징수(연도별) 147 부록 3 인터뷰 질문지 149 Abstract 159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6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의존적 계약자(dependent contractor)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Preliminary Study on Enhancing National Pension Coverage for One-Person Non-Wage Workers: Focusing on the Dependent Contractor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국민연금
dc.subject.keyword고용형태 다변화
dc.subject.keyword1인 비임금근로자
dc.subject.keyword의존적 계약자
dc.subject.keywordNational Pension
dc.subject.keywordDiversified Employment Forms
dc.subject.keywordOne-Person Non-Wage Workers
dc.subject.keywordDependent Contractor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ah-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Gyeo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Gunhy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hm, Jaewoo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47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4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47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6-18T06:44:07Z
dc.date.datesubmitted2025-06-18T06:44:07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10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10-00]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의존적 계약자(dependent contractor)를 중심으로
dc.subject.kihasa공적연금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Public pens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