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Online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 Focusing on Public and Service Provider Online Platform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어유경 |
dc.contributor.author | 노현주 |
dc.contributor.author | 서윤경 |
dc.coverage.temporal | 2024-11-06 - 2025-04-30 |
dc.date.accessioned | 2025-06-18T06:26:28Z |
dc.date.available | 2025-06-18T06:26:28Z |
dc.date.issued | 2025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79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03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에서 온라인 정보 접근성 수준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부 및 지자체가 운영하는 공식적인 정보 제공 플랫폼뿐만 아니라, 개별 서비스 제공기관이 이용자에게 얼마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해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서비스 유형이 다양하고 제공기관의 수가 많아 이용자의 정보 접근성이 중요한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당 사업에서의 온라인 정보 제공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기관 수준과 정책 수준에서 이용자의 온라인 정보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nalyzed online platforms—website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operated by service provider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to assess whether sufficient information is provided online to users i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a representative social service voucher program.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at the service provider level and at the policy level.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3 제1절 사회서비스와 정보 접근성 15 제2절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과 정보 접근성 22 제3절 선행연구 및 연구 배경 검토 결과 25 제3장 제공기관의 온라인 정보 분석 27 제1절 분석 방법 29 제2절 분석 결과 41 제3절 우수사례 심층분석 57 제4장 정부 및 지자체의 온라인 정보 분석 63 제1절 분석 방법 65 제2절 정부 웹사이트 정보 분석 68 제3절 지자체 웹사이트 정보 분석 72 제5장 결론 79 제1절 연구 요약 81 제2절 시사점 및 제언 83 참고문헌 89 Abstract 93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10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온라인 정보 현황 분석: 공공 및 제공기관의 온라인 매체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An Analysis of Online Information on the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 Focusing on Public and Service Provider Online Platform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온라인 정보 |
dc.subject.keyword | 정보 접근성 |
dc.subject.keyword |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
dc.subject.keyword | 온라인 매체 |
dc.subject.keyword | Online Information |
dc.subject.keyword | Information Accessibility |
dc.subject.keyword |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ject |
dc.subject.keyword | Online Platform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Eo, Yugye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Noh, Hyunju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eo, Yoon Kyou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b.2025.02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수시) 2025-02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수시) 2025-02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date.dateaccepted | 2025-06-18T06:26:28Z |
dc.date.datesubmitted | 2025-06-18T06:26:28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시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205_1_1 |
dc.type.project | 수시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시24-001-06]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온라인 정보 현황 분석 - 공공 및 제공기관의 온라인 매체를 중심으로 |
dc.subject.kihasa | 보건복지 정보화 |
dc.subject.kihasa | 사회서비스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