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함영진 |
dc.contributor.author | 조성은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아 |
dc.contributor.author | 신정우 |
dc.contributor.author | 민기채 |
dc.contributor.author | 허신행 |
dc.contributor.author | 추병주 |
dc.contributor.author | 이채정 |
dc.contributor.author | 천미경 |
dc.contributor.author | 고경표 |
dc.coverage.temporal | 2024-05-01 - 2025-03-31 |
dc.date.accessioned | 2025-06-11T07:30:28Z |
dc.date.available | 2025-06-11T07:30:28Z |
dc.date.issued | 2025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80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546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는 주기적인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의 질적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회, 경제, 제도적 변화에 대응하는 사회정책 분야별 새로운 동향 지표를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정책이 복지국가의 성과와 국민의 총체적인 삶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로 ‘사회적 임금(Social Wage)’을 선택하여, 이 지표의 측정과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 임금에 관한 다양한 논의에 따라, 사회적 임금을 실제로 측정해보았다. 사회정책 분야별 성과 중심 동향 분석은 기대수명 및 기대여명 등 보건의료 지표, 평균 가구소득 등 소득과 주거 지표, 장기요양 수급률 등 사회서비스 지표, 1인 가구, 인구구조 등 인구 지표 그리고 사회보장 일반 지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중심으로 지표별 동향을 살펴보고, 생애주기 또는 하위집단 등을 구체화하여 사회정책 영역별 지표 변화를 검토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develops trend indicators in key social policy areas to better respond to soci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changes, with the aim of bringing qualitative improvements to periodic analyzes of social policy performance and trends. To this end, we selected the concept of 'social wage'―an indicator designed to comprehensively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welfare state and its impact on people's lives as a whole. We examined both how the social wage can be measured and how it can be applied in practice. In particular, we conducted actual measurements of social wages, drawing on existing debates and definitions. Our trend analysis focused on performance indicators across several domains: healthcare (life expectancy and life expectancy at birth), income and housing (average household income), social services (long-term care payment rates), population (per capita and demographics), and overall social security. We analyzed these indicators by policy area, population subgroup, and life-cycle stage. Building on prior research, we centered our analysis on key indicators within each major social policy area and assessed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social wage as a central measure of the welfare state’s performance and imp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목적 및 배경 7 제2절 연구의 구성 9 제2장 영역별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11 제1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개요 13 제2절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분석 15 제3절 보건의료 영역의 지표 체계 검토 46 제4절 보건의료 주요 영역별 지표 동향 분석 52 제3장 사회적 임금의 개념과 측정 및 활용 가능성 67 제1절 들어가며 69 제2절 사회적 임금의 개념과 함의 71 제3절 사회적 임금의 범주 85 제4절 사회적 임금의 탐색적 측정 88 제4장 결론 101 제1절 결론 103 제2절 향후 개선 방향 105 참고문헌 109 Abstract 117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2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지표 개발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of Social Trends Monitoring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적 임금 |
dc.subject.keyword | 정책지표 |
dc.subject.keyword | 보건의료 |
dc.subject.keyword | 소득보장 |
dc.subject.keyword | social wage |
dc.subject.keyword | policy indicators |
dc.subject.keyword | healthcare |
dc.subject.keyword | income security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m, Young 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 Sunge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Seong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hin, Jeongw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in, Kicha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eo, Shinha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u, Byungj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Chaeje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eon, Mi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o, Kyongpyo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5.01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5-01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5-01 |
dc.citation.date | 2025 |
dc.citation.date | 2025 |
dc.date.dateaccepted | 2025-06-11T07:30:28Z |
dc.date.datesubmitted | 2025-06-11T07:30:28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106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4-007-00]사회정책 성과 및 동향 지표 개발 연구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 통계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