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KoWeps)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academic and policy research, but there is a need to review its achievements and explore future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s in three areas: sample representativeness, appropriateness of survey items, and efficiency of survey operations. While representativeness is generally maintained, issues such as initial instability and potential bias remain. Survey items have adapted to policy changes, but welfare service questions need to be expanded and refined. Lastly, challenges in survey operation sustainability highlight the need for long-term improvements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Table Of Contents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배경 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및 발전 방향 13 제1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현황 15 제2절 표본 설계 및 가중치 체계 쟁점 검토 29 제3절 소결 57
제3장 소득보장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61 제1절 조사 항목 개편의 필요성 63 제2절 소득 관련 항목 64 제3절 부채, 이자, 재산 항목 89 제4절 생활비 항목 99 제5절 소결 109
제4장 사회서비스 조사 내용 현황 및 발전 방향 111 제1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검토 방향 113 제2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변화 및 현황 114 제3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쟁점 129 제4절 사회서비스 조사의 발전 방향 137
제5장 패널 운영 국내외 사례 검토 141 제1절 국내 패널 운영 사례 143 제2절 해외 패널 운영 사례 151 제3절 패널 운영 효율화 방향 168
제6장 결론 및 제언 175 제1절 연구 결과 및 제언 177 제2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