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기태 |
dc.contributor.author | 신영규 |
dc.contributor.author | 김명주 |
dc.contributor.author | 김은하 |
dc.contributor.author | 변소연 |
dc.coverage.temporal | 2024-07-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5-15T04:24:09Z |
dc.date.available | 2025-05-15T04:24:09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77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445 |
dc.description.abstract | 사회보장은 인공지능(AI) 기술이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는 분야다. 본 보고서의 제2장에서는 AI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 적용을 위한 윤리 원칙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국내외 기관의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한국에서는 조달정보공개포털과 나라장터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난 5년간 사회보장 분야에서의 복지기술 적용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된 36개의 사업이 확인되었다. 마찬가지로, 제3장 제2절에서 검토한 해외 사례에서도 챗봇과 같은 비교적 기본적인 AI 기술이 폭넓게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국내외 사회보장 분야의 AI 기술 규제 동향을 분석하였다. 한국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적절한 규제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의 규제 사례로는 유럽연합의 「인공지능법」과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행정명령 제14110호를 분석하였다. 두 규제 모두 사회보장 영역을 중요한 규제 대상으로 간주하며, 구체적인 기술 진흥 및 규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사회보장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는 열개 영역을 확인하고, AI 기술 적용이 초래할 편익과 위험성을 각각 일곱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끝으로 사회보장 분야의 AI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규제하기 위한 여덟가지 정책 제언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Social security is one of the field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applied. Chapter 2 of this report examines the current trends in AI development and proposes ethical principles for its application. Chapter 3 reviews case studies of AI implementation in institutions both in Korea and abroad. In the Korean context, 36 projects in social security area employing AI technology were identified. Similarly, as examined in Section 3.2, case studies from other countries demonstrate that relatively basic AI technologies, such as chatbots are widely utilized. Chapter 4 analyzes the regulatory trends concerning AI technology in the social security sector,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t was found that Korea lacks adequate regulations in this area yet. Internationally, two key regulatory frameworks were analyzed: the European Union’s Artificial Intelligence Act and Executive Order 14110 issued by the Biden administration in the United States. Both regulations regard the social security domain as a critical target for regulation and present concrete measures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regulatory oversight. Finally, the report identifies ten domains in which AI technologies are applied within the social security sector, and classifies the associated benefits and risks into seven categories each. The report concludes by offering eight policy recommendations to support and regulate AI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securi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2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3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추진 방법 29 제2장 인공지능 발전의 동향 및 쟁점 39 제1절 인공지능 기술 발전 동향 41 제2절 인공지능 발전에 따른 윤리적 쟁점 64 제3장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보장 행정 적용 사례 109 제1절 국내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보장 행정 적용 사례 111 제2절 국외 인공지능 기술의 사회보장 행정 적용 사례 148 제4장 국내·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규제 157 제1절 국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규제 159 제2절 국외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규제 182 제5장 결론 219 제1절 요약 및 논점 221 제2절 정책적 함의 232 참고문헌 241 [부록] 해외 인공지능 규제 정리 263 Abstract 273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8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보장 행정에서 인공지능 적용 동향과 함의 |
dc.title.alternative | Analysis of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인공지능 |
dc.subject.keyword | 사회복지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 |
dc.subject.keyword | 사회정책 |
dc.subject.keyword | 빅 데이터 |
dc.subject.keyword | artificial Intelligence |
dc.subject.keyword | social security |
dc.subject.keyword | social welfare |
dc.subject.keyword | social policy |
dc.subject.keyword | big dat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i-ta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hin, Young-Kyu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Myuhng-jo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Eunh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yeon, So Yeo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b.2024.0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수시) 2024-0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수시) 2024-05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5-15T04:24:09Z |
dc.date.datesubmitted | 2025-05-15T04:24:09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시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158_1_1 |
dc.type.project | 수시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시24-001-04]사회보장행정에서 인공지능 적용 동향과 함의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