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아영 |
dc.contributor.author | 박소은 |
dc.contributor.author | 이지은 |
dc.contributor.author | 우선희 |
dc.coverage.temporal | 2024-01-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4-18T04:39:12Z |
dc.date.available | 2025-04-18T04:39:12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526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363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과 시간 자원의 제약이라는 복합적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 방향을 제시한다. 한부모 가구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과 돌봄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으나, 현재의 지원제도는 선정 기준의 경직성, 급격한 혜택 변화(‘전부 또는 전무’ 구조), 소득 역전 현상 등으로 인해 자립 유인을 저해하고 제도 접근성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 지원 또한 저소득층 중심의 제한적 적용과 노동시장 내 제도적 사각지대로 인해 실질적인 돌봄 공백 해소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소득 기준의 다층화, 재산 산정 기준의 현실화, 자녀 기준의 시간 자원 총량 보장, 돌봄서비스의 표적화와 포괄성 강화 등 정책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한부모가 혼자서도 안정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은, 모든 아동에게 동등한 양육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무의 일환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nalyzes the complex challenges of economic hardship and time poverty experienced by single-parent households. Despite their active engagement in both work and caregiving, the current support system often limits access and undermine self-sufficiency due to rigid eligibility criteria, abrupt benefit cutoffs, and income reversal effects. Time-related support remains narrowly focused on low-income groups, while structural blind spots within the labor market further constrain access to effective caregiving support. The study offers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both economic and time related support systems, aiming to strengthen the foundation for self-sufficient among simgle-parent families and improve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한부모가족 지원을 위한 이론적 논의 19 제1절 한부모가족 개념 및 관련 문헌 분석 21 제2절 한부모가족을 위한 법 및 지원 정책 변천사 28 제3절 소결 38 제3장 한부모가족을 둘러싼 환경 분석 43 제1절 분석 개요 45 제2절 경제적 및 시간 자원 현황 및 변화 57 제3절 이해관계자 심층 면담을 통해 파악한 지원 정책의 한계점 93 제4절 소결 103 제4장 한부모가족 지원 정책 분석 109 제1절 지원 정책 현황 111 제2절 경제적 지원 정책 분석 121 제3절 시간 지원 정책 활용 분석 128 제4절 소결 136 제5장 해외 사례: 독일과 영국 139 제1절 개요 141 제2절 독일 사례 143 제3절 영국 사례 167 제4절 정책적 시사점 188 제6장 결론 197 제1절 분석 결과 요약 19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205 참고문헌 219 Abstract 233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24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한부모가족의 시간 및 경제적 자원과 정책 |
dc.title.alternative | Time and Economic Resources of Single-Parent Families and Policie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일하는 한부모 |
dc.subject.keyword | 경제적 지원 |
dc.subject.keyword | 시간 지원 |
dc.subject.keyword | 한부모가족지원정책 |
dc.subject.keyword | Single-Parent Families |
dc.subject.keyword | Time resources |
dc.subject.keyword | Economic resources |
dc.subject.keyword | Policies for single-parent families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A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oe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ie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Woo, Sunhee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4.3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3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35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4-18T04:39:12Z |
dc.date.datesubmitted | 2025-04-18T04:39:12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011_1_1 |
dc.type.project | 기본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기본24-011-00]한부모가족의 시간 및 경제적 자원과 정책 |
dc.subject.kihasa | 공공부조 |
dc.subject.kihasa | 사회수당 |
dc.subject.kihasa | 노동연계복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