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olicy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eveloped Countries for Healthcare Sustainab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우경숙
dc.contributor.author김윤희
dc.contributor.author신영전
dc.date.accessioned2025-04-03T06:20:34Z
dc.date.available2025-04-03T06:20:34Z
dc.date.issued2025-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3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보건의료 지속 가능성 위협의 대응 방안을 수립한 미국, 영국, 캐나다를 대상으로 지속성 실행 전략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대상 국가들은 보건의료 성과체계에 효율성 및 재정 지속성 지표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품질, 형평성을 반영한 사회 지속 가능성 지표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해 정부 차원의 탄소 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법률적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정부 부처가 달성해야 할 목표와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 가능성 지표 평가를 통한 경과보고 체계를 의무화하고 있었다. 이들 국가들의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정부 차원의 지속 가능성 확보를 위해 자국의 보건의료 상황을 고려한 목표 설정과 대응 전략의 수립, 정책 이행을 평가할 수 있는 지속 가능성 프레임워크와 지표의 개발, 모든 의사결정 과정과 절차에 체계성과 투명성의 확보이다. 보건의료 지속 가능성을 진단하여 정책 평가에 활용할 지표를 개발하고, 국민건강보험의 재정 지속성에 국한된 논의를 넘어 경제․사회 영역뿐만 아니라 환경을 포함한 보건의료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reviewed the policy goals and strategies of the USA, UK, and Canada, which have established measures to ensure healthcare sustainability. These countries have integrated financial,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to their healthcare systems. In contrast, South Korea has lacked comprehensive discussion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to measure sustainability in its healthcare system and evaluate related policies.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need for South Korea to establish goals and response strategies appropriate to its healthcare context, develop a comprehensive sustainability framework with relevant indicators for policy evaluation, and promote systematic and transparent decision-making processes at the governmental level. Furthermore, efforts are needed to address not only the financial sustainability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but also the broader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of healthcare sustainabilit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의료 지속 가능성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주요 국가 및 국제 사회의 대응: 한국 보건의료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Policy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Developed Countries for Healthcare Sustainabili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보건의료 지속 가능성
dc.subject.keyword보건의료 성과
dc.subject.keyword지속 가능성 프레임워크
dc.subject.keyword지속 가능성 지표
dc.subject.keywordHealthcare Sustainability
dc.subject.keywordHealthcare Performance
dc.subject.keywordSustainability Frameworks
dc.subject.keywordSustainability Indicator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o, Kyung-s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oun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Young-jeo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1.285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5-03-31
dc.citation.startPage285
dc.citation.endPage3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1호, pp.285-3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1, pp.285-309
dc.date.dateaccepted2025-04-03T06:20:34Z
dc.date.datesubmitted2025-04-03T06:20:34Z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