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 adulthood
; parental support
; youth and inequality
; intergenerational relationship
; transition to adulthood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al support during young adulthood. It reveals that parental support extends beyond financial assistance to include emotional support, advice, and involvement, with strong emotional bonds facilitating greater instrumental support. Parents and children recognize the value of parental support, not as a matter of moral obligation but as a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The study also highlights class-based disparities in parental support.
목차
요 약 1
제1장 서 론 3 제1절 연구배경과 목적 5 제2절 기존 논의 9 제3절 연구방법 13
제2장 초기 성인기와 부모 지원의 배경 29 제1절 교육, 취업, 주거의 인구사회적 변화 31 제2절 교육제도와 가족 48 제3절 청년정책의 개입 54
제3장 초기 성인기에 대한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 67 제1절 초기 성인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일상적 지원 69 제2절 자녀의 성인 이행과 부모의 전략적 지원 101 제3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성과 의미 115
제4장 이상적 세대관계와 현실적 지원 관계 127 제1절 부모역할에 대한 가치관과 의식 129 제2절 부모 지원 필요성과 가치 142 제3절 부모 역할 확대에 대한 부모세대의 인식 152
제5장 부모 지원의 계층간 격차 159 제1절 주관적 계층 범주의 특징 161 제2절 부모 지원의 다차원적 격차 165 제3절 기대와 전망의 계층화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