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 simulation model
; poverty
; take-up rate
; policy effect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simulation model for analyzing the effects of changes in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This study improved previous simulation models by applying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and by considering potential non-take up behaviors. The model applied the NBLS rules on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data and artificially generated the NBLS take-up status and the amount of benefits. Take-up rates and poverty were calculated to evaluate the redistributive effects of changes in NBLS System. Several scenarios were simulated to assess the impacts of recently proposed NBLS reform plans. The results show that abolishing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 raising the Standard Median Income, adjusting the concept of household, increasing the the cut-off line for an assessment of entitlement, expanding the earned income credit, relaxing the asset test rules enhance the generosity of NBLS System and reduce poverty.
Table Of Contents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 내용 7 제2절 연구 구성 10
제2장 대안적 소득보장모델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 논의 11 제1절 최근 거론되는 대안적 소득보장모델 13 제2절 대안적 소득보장모델의 특징과 최근 흐름 15 제3절 기존 소득보장제도 비판에 대한 검토 22 제4절 대안적 소득보장모델과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31
제3장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시나리오 설정 및 소득인정액 생성 39 제1절 데이터 및 변수 41 제2절 제도 요소 48 제3절 소득인정액 생성 74
제4장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수급집단 선정 및 급여 생성 77 제1절 한국복지패널조사 수급 실태 분석 79 제2절 수급집단 선정 및 급여 생성 108
제5장 시뮬레이션 모델 검증 115 제1절 가계금융복지조사 데이터 비교 117 제2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행정데이터 비교 123
제6장 시뮬레이션 모델 분석 129 제1절 개별 제도 요소 시나리오 분석 131 제2절 제도 요소 조합 시나리오 분석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