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Strengthening Collaboration in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uthor배정은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contributor.author채수미
dc.contributor.author백상숙
dc.contributor.author한혜진
dc.coverage.temporal2024-05-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3-10T04:33:57Z
dc.date.available2025-03-10T04:33:5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45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064
dc.description.abstract재난 이후 다양한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재난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체계를 정비하고 지원해 오고 있다. 그러나 대비, 대응 및 사후 관리에 이르는 재난의 단계에서 여러 주체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의 중복, 현장에서의 소통 혼선 등의 경험이 증가함에 따라 현장에서는 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 혹은 역할 분담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 경험을 반추하고, 향후 발생 가능한 재난에 대해 정신건강 정책 차원에서 대비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협업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c.description.abstractIn respons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experiencing various mental health issues following disasters, the government has been enhancing and providing a system for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However, throughout the stages of disaster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challenges have emerged, such as the duplication of services provided by multiple entities and communication breakdowns at the field level.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consistent demand for improved collabor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well-defined roles in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flect on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on in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in Korea and identify ways to strengthen collaborative systems for future disaster preparedness and response at the mental health policy lev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3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해외 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체계 15 제1절 독일 17 제2절 호주 30 제3절 일본 46 제4절 미국 66 제5절 소결 81 제3장 국내 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체계 87 제1절 국내 재난 대응 체계 고찰 89 제2절 재난 정신건강 지원 관련 법제도 고찰 93 제3절 재난 정신건강 지원 운영체계 고찰 101 제4절 질적 면담 조사를 통해 살펴본 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 현황 140 제5절 소결 184 제4장 결론 189 제1절 평시의 협업체계 강화 방안 제안 191 제2절 재난 시의 협업체계 강화 방안 제안 202 제3절 주체별 재난 정신건강 지원 역량 강화 방안 제안 214 참고문헌 221 부록 235 [부록 1] 질적 면담 조사 질문지 235 [부록 2] 서면 의견 조사지 239 Abstract 247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5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체계 강화 방안
dc.title.alternativeStrengthening Collaboration in Disaster Mental Health Support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재난
dc.subject.keyword정신건강
dc.subject.keyword심리 지원
dc.subject.keyword협력체계
dc.subject.keywordDisaster
dc.subject.keywordMental health
dc.subject.keywordPsychological support
dc.subject.keywordCollaborative syste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Jin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 Jung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ong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e, Su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eck, Sangs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Hyeji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2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2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28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3-10T04:33:57Z
dc.date.datesubmitted2025-03-10T04:33:5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102_1_1
dc.type.project연구개발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연개금24-004-00]재난 정신건강 지원에서의 협업체계 강화 방안
dc.subject.kihasa건강증진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Health care > Future disease risks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