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 Study on Enhancing Quality of Life Indicators Framework for Youth and the Elderly

Title
A Study on Enhancing Quality of Life Indicators Framework for Youth and the Elderly
Alternative Author(s)

Cheong, Sejeong

Keyword
청년·고령자 삶의 질 지표체계 ; 청년 ; 고령자 ; 삶의 질 지표체계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론 3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3
제2절 연구의 구성, 방법 35
제3절 연구의 진행 과정 42

제2장 청년・고령자 삶의 질 지표 선행연구 45
제1절 청년 삶의 질 지표 관련 국・내외 연구 47
제2절 고령자 삶의 질 지표 관련 국・내외 연구 61
제3절 청년・고령자 삶의 질 지표체계 고도화의 고려 사항 74

제3장 청년과 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한 초점 집단 인터뷰 87
제1절 청년의 삶의 질에 대한 초점 집단 인터뷰 89
제2절 고령자의 삶의 질에 대한 초점 집단 인터뷰 101
제3절 소결 113

제4장 청년 삶의 질 지표체계 117
제1절 청년 삶의 질 지표체계의 구성 개요 119
제2절 배경지표 121
제3절 주관적 웰빙 147
제4절 건강 158
제5절 교육 168
제6절 여가 174
제7절 시민참여 182
제8절 가족・공동체 186
제9절 신뢰・공정 193
제10절 고용・임금 198
제11절 소득・소비・자산 220
제12절 주거 232
제13절 안전 239

제5장 고령자 삶의 질 지표체계 249
제1절 고령자 삶의 질 지표체계의 구성 개요 251
제2절 배경지표 255
제3절 주관적 웰빙 287
제4절 건강 295
제5절 여가와 참여 316
제6절 가족・공동체 330
제7절 고용・임금 344
제8절 소득・소비・자산 350
제9절 주거 367
제10절 안전 375
제11절 환경 388

제6장 이슈보고서 391
제1절 개요 393
제2절 청년 삶의 질 논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394
제3절 고령자 삶의 질 논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406
제4절 소결 429

제7장 결론 및 제언 43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433
제2절 청년・고령자 삶의 질 지표 발전 방안 457

참고문헌 461

부록 467
Local ID
Commissioned Reports 2024-038
Fulltext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240000-202400010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Income protection > Welfare-to-work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