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integration
; migrants
; immigration policy
; social rights
; welfare attitudes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public perceptions of migrants in Korea,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policies, and views on migrants’ social rights and the welfare system. In order to do so, a face-to-face surve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between June and August 2024, targeting a sample of 3,000 Korean adults aged 19 to 75 across the nation. The analysis examined public perceptions of diversity and migrant acceptance across dimensions such as cultural openness, stereotypes, and national identity. Additionally,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policies and social integration were examined. A subsequent section of the report focuses on public views regarding migrants’ social rights and the welfare system.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nhancing social cohesion. Firstly, public perceptions of migra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relevant social policies. Secondly, the quality of contact between locals and migrants should be prioritized over the frequency of contact. Thirdly, achieving social consensus on social integration policies and establishing mid-to-long-term policy directions is essential. In this process, the voices of both locals and migrants should be actively included. Fourthly, introducing a social integration fund should be considered. Lastly, an anti-discrimination law should be enacted,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n anti-discrimination committee within relevant ministries or public institutions, with a special rapporteur appointed to oversee these efforts.
Table Of Contents
요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5 제1절 다문화 사회에서의 사회통합 27 제2절 이주민 수용성 36 제3절 이주민 유입과 복지국가 38
제3장 사회통합 인식 51 제1절 응답자의 특성 53 제2절 사회 및 사회통합 인식 55 제3절 소결 80
제4장 다양성과 이주민 수용성 83 제1절 들어가며 85 제2절 연구 방법 88 제3절 다양성 인식 90 제4절 이주민 수용성 인식 98 제5절 소결 및 함의점 114
제5장 이민정책과 사회통합에 대한 태도 119 제1절 이민정책에 대한 인식 121 제2절 외국인력 유입에 대한 인식 123 제3절 사회통합 정책에 대한 인식 129 제4절 사회통합 정도에 따른 이민 및 외국인력 정책 태도 133 제5절 소결 및 함의점 137
제6장 이주민 사회권과 복지정책에 대한 태도 141 제1절 이주민 사회권에 대한 내국인 인식 143 제2절 이주민·복지제도 유형에 따른 이주민 사회권 149 제3절 이주민 사회권에 대한 인식 및 복지 태도 165 제4절 소결 및 함의점 170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175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77 제2절 정책적 함의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