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Trends i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overty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우선희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2-05T00:27:10Z
dc.date.available2025-02-05T00:27:10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34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730
dc.description.abstract이 보고서에서는 빈곤의 개념과 측정 관련 국내외 논의와 논쟁을 개관하고, 상대소득 빈곤, 주관적 빈곤, 박탈지표 방식을 통해 우리나라의 빈곤 수준과 추이를 계측하고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실시하는 『국민생활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report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discussions and debates related to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overty and to measure and compare poverty levels and trends in Korea using relative income poverty, subjective poverty, and deprivation indicators, aiming to deriv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8 제2장 이론적 배경: 빈곤 개념, 정의와 측정 15 제1절 빈곤의 개념과 정의 17 제2절 빈곤의 측정 방식 28 제3절 소결 42 제3장 상대소득 빈곤: 누가 상대적으로 빈곤한가 45 제1절 상대소득 빈곤선의 활용과 쟁점 47 제2절 균등화지수에 따른 상대소득 빈곤율 추이 및 특징 54 제3절 임차료(월세)를 고려한 빈곤 현황 62 제4절 재산을 고려한 빈곤 현황 70 제5절 소결 75 제4장 주관적 빈곤: 누가 빈곤하다고 인식하는가 79 제1절 주관적 빈곤(선)의 활용과 쟁점 81 제2절 주관적 빈곤선의 수준 및 추이 84 제3절 주관적 빈곤과 상대소득 빈곤 비교 93 제4절 소결 104 제5장 박탈지표: 누가 박탈 상태인가 107 제1절 박탈지표 방식의 활용과 쟁점 109 제2절 박탈지표의 구성과 분포 112 제3절 박탈지표에 따른 빈곤과 상대적 빈곤 비교 123 제4절 소결 136 제6장 종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139 제1절 빈곤 개념 및 계측 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141 제2절 빈곤 지표 간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146 참고문헌 159 부록 167 [부록 1] 연도별 빈곤선(최저생계비) 167 [부록 2] 박탈 항목 168 [부록 3] 기초 분석 결과 172 [부록 4] 종합 분석 결과 176 Abstract 1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19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빈곤 개념 및 측정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dc.title.alternativeTrends in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Poverty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빈곤 개념
dc.subject.keyword빈곤 측정
dc.subject.keyword상대소득 빈곤율
dc.subject.keyword주관적 빈곤인식률
dc.subject.keyword박탈률
dc.subject.keywordPoverty Concept
dc.subject.keywordPoverty Measurement
dc.subject.keywordRelative Income Poverty Rate
dc.subject.keywordSubjective Poverty Perception Rate
dc.subject.keywordDeprivation Rat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eo, Eugen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Woo, Sunh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17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1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17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2-05T00:27:10Z
dc.date.datesubmitted2025-02-05T00:27:10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6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07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07-00]빈곤 개념 및 측정 동향과 정책적 시사점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공공부조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Income protection > General income protection
Income protection > Public income assistanc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