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Policy Proposal for School-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ontributor.author김혜윤
dc.contributor.author나원희
dc.contributor.author신지영
dc.contributor.author김지민
dc.contributor.author이규일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1-21T07:54:36Z
dc.date.available2025-01-21T07:54:36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32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467
dc.description.abstract청소년 비만 예방과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학교를 통해 추진되고 있지만, 실상 그 효과는 크지 않았으며 청소년의 생활은 더욱 좌식화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향후 학교 기반 청소년 신체활동 활성화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관련 국외 동향 고찰, 국내 정책 운영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 현황, 신체활동 실천의 촉진·방해 요인 및 요구도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Even while schools are implementing several programs to reduce obesity and encourage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their impact has not been substa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itically assess existing policies and suggest ways to improve future policies. To do this, this study reviewed relevant global trends, examined domestic policy issues, and conducted in-depth analyses of the current physical activity level and demands among adolescen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이론적 배경과 국외 동향 21 제1절 학교 기반의 건강증진 프레임워크 23 제2절 외국의 학교 기반 신체활동 정책 사례 48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82 제3장 청소년의 신체활동 현황 87 제1절 분석 방법 89 제2절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 현황 및 관련 요인 91 제3절 소결 151 제4장 국내 정책 현황 157 제1절 중앙 단위의 정책 159 제2절 시도 교육청 단위의 정책 226 제3절 학교체육 활동 사업의 재정구조 및 현황 234 제4절 소결 248 제5장 학교·정책 현장에서의 정책 운영 현황 253 제1절 연구 방법 255 제2절 신체활동 문제와 인식 259 제3절 신체활동 정책 현황과 문제 269 제4절 신체활동 정책 대안 293 제6장 청소년 및 학부모의 신체활동 요구도 조사 307 제1절 연구 방법 309 제2절 조사 결과 313 제3절 소결 354 제7장 결론 36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365 제2절 정책 개선 방향 368 참고문헌 379 부 록 397 부록 1. 정책 관계자 및 실무자 면담 질문지 397 부록 2. 학생 대상 FGI 질문지 404 부록 3. 학부모 대상 FGI 질문지 410 Abstract 415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4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학교 기반의 청소년 비만예방정책 개선 방향 연구: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Policy Proposal for School-Based Interventions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mong Adolescent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청소년
dc.subject.keyword학교 보건
dc.subject.keyword비만 예방
dc.subject.keyword신체활동
dc.subject.keyword건강증진
dc.subject.keywordAdolescent
dc.subject.keywordSchool health
dc.subject.keywordObesity Prevention
dc.subject.keywordPhysical Activity
dc.subject.keywordHealth Promo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oo K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e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 Wonhe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J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Gyull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15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1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15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1-21T07:54:36Z
dc.date.datesubmitted2025-01-21T07:54:36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04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04-00]학교 기반의 청소년 비만예방정책 개선 방향 연구: 신체활동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건강증진
dc.subject.kihasa건강친화적 환경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Health care > Health-friendly environment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