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Employment policy and retirement age extension for older worker: Focusing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철선
dc.contributor.author조성은
dc.contributor.author이다미
dc.contributor.author장성현
dc.contributor.author민동세
dc.contributor.author황경진
dc.contributor.author이시균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1-14T08:44:37Z
dc.date.available2025-01-14T08:44:3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28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4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빈곤율 발생의 주 원인인 낮은 고령자 고용율의 상승과 국민연금의 성공적인 개혁을 위해 필요한 65세 정년연장 제도 도입 가능성과 사회복지서비스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해외국가의 정년제도 운영현황, 65세 정년연장 도입시 수혜 규모 및 세대간 일자리 대체성, 그리고 사회복지서비스업 수요와 공급의 변화가능성을 다양한 행정통계와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령 근로자가 많은 5인 미만 사업장에 대해 정년제도가 미적용되고 있고, 정년제도 도입을 위해 정부가 지원사업을 운영 중이지만 수혜 규모는 적은 편이었다. 둘째 해외국가들은 연금개혁 시, 고용율 유지를 위한 근로유인정책을 같이 도입하였지만 한국은 부재한 상황이다. 셋째, 고용보험통계 자료를 이용해 65세 정년연장 적용 규모를 산출한 결과 전체 취업자 대비 매우 적은 상황이며, 청년 일자리와의 대체성도 낮았다. 넷째, 정년연장으로 인한 사회복지서비업의 수요 변화는 적은 반면, 공급차원에서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가능성은 존재하였지만 임금상승으로 인해 지속가능성은 감소하고 있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system to extend the retirement age to 65, which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low employment rate of the elderly, which is the main cause of the elderly poverty rate, and for successful reform of the national pension system, and its impact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retirement system operation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e scale of benefits and intergenerational job substitution when introducing an extension of retirement age to 65,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the demand and supply of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ies were analyzed through various administrative statistics and survey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the retirement system is not applied to workplaces with less than 5 employees, which have many elderly workers, and although the government is operating a retirement system introduction support project, the scale of benefits is small. Second, while foreign countries have introduced work incentive policies to maintain employment rates when reforming pensions, Korea does not have any. Third, when calculating the scale of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to 65 using employment insurance statistics, it was very small compared to the number of employed people, and job substitution between generations was also found to be low. Fourth, while the change in 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due to th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is small, there is a possibility of job creation in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on the supply side. However, sustainability is decreasing due to wage increa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22 제2장 한국의 고령자고용 정책과 해외사례 25 제1절 한국의 고령자고용 현황 27 제2절 한국의 고령자고용 정책과 정년제도 이슈 50 제3절 한국의 연금개혁과 65세 정년연장 57 제4절 정년연장에 대한 해외국가 사례 74 제3장 정년연장의 수혜 규모 산출과 청년일자리 대체성 91 제1절 정년연장 시, 수혜규모 산출 93 제2절 청년과 고령자의 세대 간 일자리 대체성 105 제4장 정년연장과 사회복지서비스업의 변화 117 제1절 개관 119 제2절 정년연장과 사회서비스 수요 120 제3절 일자리산업으로서 사회복지서비스업의 특징과 고용실태 추이 133 제4절 사회복지서비스업의 고령자고용과 정년제 운영실태 154 제5장 결론 185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87 제2절 향후 과제 197 참고문헌 207 부 록 215 65세 정년연장에 대한 사회복지시설장의 인식 조사 설문지 215 Abstract 227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4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고령자고용 정책과 정년연장: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mployment policy and retirement age extension for older worker: Focusing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정년연장
dc.subject.keyword연금개혁
dc.subject.keyword고령근로자 일자리
dc.subject.keyword사회복지시설 인력관리
dc.subject.keywordEmployment policy for older workers
dc.subject.keywordExtension of retirement age to 65
dc.subject.keywordIntergenerational job substitution
dc.subject.keywordDeman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dc.subject.keywordSupply of social welfare service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Cheolse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Sung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ah-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Sung-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in, Dong-S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wang, Kyung-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ikyo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1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1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11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1-14T08:44:37Z
dc.date.datesubmitted2025-01-14T08:44:3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3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13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13-00]고령자고용 정책과 정년연장: 사회복지서비스업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