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low fertility rates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irth cohorts in Korea

Title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low fertility rates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irth cohorts in Korea
Alternative Author(s)

Chang, Insu ; Lim, Jiyoung ; Yoo, Sam Hyun ; Kye, Bongoh

Keyword
socioeconomic inequality ; youth generation ; instability ; low fertilityrate ; fertility ; social structure ; labor market ; decomposition model ; cross-sectional study ; longitudinal study
Publication Year
2024
Publish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ultra-low fertility rate. We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vulnerabilities of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could negatively affect their progression to key life stage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We also considered how the rapid decline in fertility rates may be linked to increasingly individual-level disparities caused by the polarization of social structures and various forms of inequality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Furthermore, we determined that these iss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roader social instability currently recognized as a pressing concern in Korea.
Table Of Contents
요 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17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21

제2장 관련 논의 검토 25
제1절 경험적으로 보고된 한국사회의 세대 간, 세대 내 불평등 27
제2절 불평등과 차별적 인구 행위 29
제3절 저출산 현상과 인구학적 논쟁 33

제3장 불평등과 불안정성, 그리고 차별적 인구 행위 41
제1절 분기하는 흐름과 불평등 43
제2절 불확실성의 확대와 새로운 논의 46
제3절 한국의 불평등과 불안정성 53
제4절 소결 60

제4장 불안정성의 기제와 특성 탐색: 최근 세대 간,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가치관 63
제1절 세대 간 소득, 자산 불평등 최근 추세 66
제2절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현황 79
제3절 세대 내 불평등과 미혼자의 결혼·출산 관련 특성 분석 92
제4절 세대 간, 세대 내 결혼, 출산 등에 대한 가치관 차이 특성 111
제5절 소결 121

제5장 노동시장 지위 이동으로 본 세대 간 불평등 특성과 함의 125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27
제2절 관련 선행연구 검토 128
제3절 자료와 분석방법 132
제4절 분석결과 139
제5절 소결 169

제6장 출생코호트별 출산 이행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간 연관성 171
제1절 분석의 배경 173
제2절 분석자료와 방법 175
제3절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출산 이행 간 연관성: 출생코호트 간 차이 탐색 187
제4절 소결 210

제7장 결론 213
제1절 주요 연구내용 요약 215
제2절 정책적 함의 219

참고문헌 223

Abstract 241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24-14
ISBN
9791172520311
DOI
10.23060/kihasa.a.2024.14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fertility decline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