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date.accessioned2024-11-26T04:27:23Z
dc.date.available2024-11-26T04:27:23Z
dc.date.issued2024-11-25
dc.identifier.issn2092-717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163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4/2024.11.452
dc.description.abstract- 이 글에서는 ‘2023년 사회통합 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인식을 기반으로 사회갈등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사회통합도를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분석 결과, 첫째, 한국인은 사회갈등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인식함. 둘째, 사회갈등 유형 중 진보·보수 간 갈등은 매우 심각하며, 반면에 남녀 간 갈등은 상대적으로 덜 심각한 것으로 인식함. 셋째, 사회갈등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와 국회 및 정당이 중심적 역할을 해야 함. - 사회갈등을 완화 혹은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사회통합도를 제고하려는 노력을 해야 함.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갈등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변화와 시사점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identifier.doi10.23064/2024.11.452
dc.citation.title보건복지 Issue & Focus
dc.citation.titleHealth Welfare Issue & Focus
dc.citation.volume452
dc.citation.date2024-11-25
dc.citation.startPage1
dc.citation.endPage1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 Issue & Focus 452호, pp.1-1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Welfare Issue & Focus No.452, pp.1-10
dc.date.dateaccepted2024-11-26T04:27:23Z
dc.date.datesubmitted2024-11-26T04:27:23Z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cohesion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