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이론적 논의 제1절 연금개혁과 사회적 합의 11 제2절 최근 연금개혁 논의와 사회적 합의 23 제3절 소결 32
제3장 연금개혁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국민 인식조사 결과 제1절 조사 개요 37 제2절 주요 문항별 기초 분석 43 제3절 공적연금의 제도 인식과 연금개혁 선호 135 제4절 경제적 특성 및 노후준비 상태와 연금개혁 선호 172 제5절 노동시장 특성과 연금개혁 선호 211
제4장 연금개혁에 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과 정책 요구 방향 제1절 분석 개요 241 제2절 연금개혁에 관한 이해관계자의 인식과 정책 요구 방향 243 제3절 소결 266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71 제2절 시사점 278
■ 참고문헌 281
■ 부록1. 최근 연금개혁 거버넌스 및 주요 내용 요약 287 1. 제5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287 2.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292 ■ 부록2. 연금개혁의 사회적 합의를 위한 국민 인식조사: 조사표 304 ■ 부록3. 공적연금에 대한 제도 인식 및 이해 340 ■ 부록4. 장기적 관점의 공적연금 체계 358 ■ 부록5. 기타 노후 준비 362 ■ 부록6. 필요 노후소득 367 ■ 부록7. 예상 연금소득 374 ■ 부록8. 조사대상자 기본 정보 378 ■ 부록9. 공적연금 제도 인식과 연금개혁 선호 386 ■ 부록10. 연금개혁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터뷰 질문지(안): 청년 391 ■ 부록11. 연금개혁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터뷰 질문지(안): 지역가입자 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