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bsidi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 Social Return on Investment of Public Daycare Center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나원희 |
dc.contributor.author | 이아영 |
dc.contributor.author | 하솔잎 |
dc.contributor.author | 김송이 |
dc.contributor.author | 박윤현 |
dc.contributor.author | 황안나 |
dc.coverage.temporal | 2023-05-01 - 2024-03-31 |
dc.date.accessioned | 2024-08-20T08:56:28Z |
dc.date.available | 2024-08-20T08:56:28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20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710 |
dc.description.abstract |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분야 재정지출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2000년 미국의 사회적 기업 투자재단인 REDF(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가 개발하여, 미국과 유럽(특히 영국)에서 사회영향 투자자를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는 사회적투자수익률(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사업 중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에 대한 사회적투자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의 사회적투자수익률은 1원당 1.32원의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해당 가치는 단순히 돈을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돈으로 환산되어 보여지는 가치에 의미가 있는 것이다. 즉,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에 대한 가치는 1보다 크며, 사회적으로 가치가 있음을 의미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spending was measured using the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analysis, a method developed in 2000 by the Roberts Enterprise Development Fund (REDF), a social enterprise investment found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method is widely used among social impact investor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particularly in the UK. The study focused on calculating the SROI for the expansion of public daycare centers, a project funded by national subsidi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ROI for the public daycare center expansion project was 1.32 KRW for every 1 KRW invested. This value does not merely represent money but signifies the value expressed in monetary terms. In other words, the value of the public daycare center expansion project is greater than 1, indicating that it holds significant social valu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 방법 13 제1절 사회복지 분야 국고보조사업의 특성 15 제2절 사회복지 분야 성과평가와 한계점 22 제3절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방법 34 제4절 소결 48 제3장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 분석 51 제1절 분석 대상 53 제2절 현황 분석 63 제3절 기존 성과지표 분석 72 제4절 소결 79 제4장 성과지표 개발 81 제1절 이해관계자별 초점집단 인터뷰 실시 83 제2절 신규 성과지표 분석 104 제3절 소결 136 제5장 사회적투자수익률 분석 139 제1절 성과지표 맵핑 141 제2절 사회적투자수익률 산출 146 제3절 소결 157 제6장 결론 161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163 제2절 제언 166 참고문헌 169 부록 175 [부록 1] 영유아 양육기관 이용 실태 및 인식 조사 175 [부록 2]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사업의 사회적 가치 측정 관련 초점집단 인터뷰 197 Abstract 203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14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금의 효과 분석 - 국공립어린이집의 사회적투자수익률(SROI) 분석 |
dc.title.alternative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 Subsidie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 Social Return on Investment of Public Daycare Centers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복지분야 |
dc.subject.keyword | 국고보조금 |
dc.subject.keyword | 사회적투자수익률 |
dc.subject.keyword | 사회적가치 |
dc.subject.keyword | 국공립어린이집 |
dc.subject.keyword | Social welfare sector |
dc.subject.keyword | Government subsidies |
dc.subject.keyword |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
dc.subject.keyword | Social value |
dc.subject.keyword | Public daycare center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Na, Wonhe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A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 Solleep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Song-Y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ck, Yun H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wang, Anna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4.03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03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03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4-08-20T08:56:28Z |
dc.date.datesubmitted | 2024-08-20T08:56:28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134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3-005-00]사회복지분야 국고보조금의 효과 분석 : 국공립어린이집의 사회적투자수익률(SROI) 분석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재정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